
![]() |
사드 배치 등으로 중국과의 경제협력 관계가 경색되면서 기업들의 타격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새로운 경제협력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은이 기잡니다.
![]() |
1992년 한·중수교 체결 당시 63억 달러였던 양국의 교역량은 지난해 2천114억 달러로 33배나 성장했습니다.
2003년부터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제 1수출국이 됐고, 한국 역시 중국의 4대 수출국이 됐습니다.
투자와 서비스 분야는 물론 인적교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서트 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경제본부 정형곤 본부장
[상당히 중요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해왔고 잘 아시다시피 한중 FTA가 체결이 돼서 양국의 경제관계가 더욱 공고히 되어 있고요. 이런 협력은 양자적 협력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의 협력도 굉장히 강화됐습니다. 예를 들어서 동아시아 경제 통합 같은 경우에서도 한중이 굉장히 협력을 많이 하고 있고요.]
하지만 지난 25년동안 중국은 고도의 성장을 이뤘고, 한·중 경제관계는 과거 수직적, 보완적 관계에서 대등한 관계로 성장했습니다.
중국의 산업고도화로 한·중 수출경합도는 1998년 37.9에서 2015년에는 44.8을 기록했고 한국 기업을 향한 통상압력은 우리 수출 경쟁력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드 문제로 중국의 경제적 보복 조치가 노골화되면서 중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온 기업들이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인서트 2
전국경제인연합회 엄치성 국제협력실장
[정경분리 원칙 그러니까 정치적, 외교적으로 다툴 수 있더라도 한 경제적 협력관계는 계속되면 좋은데 지금은 그런 분리가 잘안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은 계속해서 경쟁력 있는, 중국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제품 ,상품을 만들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계속해서 지속해 나갈 수 있는 방법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대내외 연구기관과 기업들은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경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중 FTA 강화와 대중국 투자방식의 다각화,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다자간 협력 강화 방안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BBS뉴스 권은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