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건강기능식품 등에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선제적 안전관리 가능해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이번에 규명한 유사물질은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인 실데나필의 화학구조를 의도적으로 변형한 것"이라며 "이를 '데스메틸피페라지닐 프로폭시실데나필(Desmethylpiperazinyl propoxysildenafil)'로 이름 짓고 국제학술지인 '과학과 정의'(Science & Justice)에 분석법을 등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새로운 유사물질을 발견함에 따라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에 데스메틸피페라지닐 프로폭시실데나필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식약처는 2015년부터 이달까지 발기부전치료제나 유사물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부정·불법 식품 및 위조의약품 등 287건을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치료제나 유사물질이 들어있던 제품은 131건(45.6%)이었습니다.
검출 성분은 오리지널 의약품인 실데나필(39.2%), 타다라필(26.4%), 실데나필 유사물질(19.8%), 타다라필 유사물질(8.5%) 등이었습니다.
세계적으로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은 지금까지 총 11개가 규명됐습니다.
양봉모 기자
yangbbs@bbs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