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앵커]
전국 네트워크 시간입니다. 

오늘은 대구 연결해 보겠습니다.
문정용 기자

[기자]
네 대구입니다.

[앵커] 
오늘은 어떤 소식 준비하셨죠?

[기자]
네, 지난 15년 간 표류해온 대구시의 신청사 건립 문제가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후보지 접수에 들어갔는데요,

관련소식 준비했습니다.

[앵커]
15년이면 짧지 않은 기간인데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나요?

[기자]
네, 대구시 신청사 건립 문제는 지난 2004년 처음 제기된 이후 지금까지 두 차례 무산 됐습니다.

무산된 이유는 재정적이 문제도 있었지만 주된 원인은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습니다.

최근에도 대구시가 올해 안에 후보지를 선정 하겠다고 하자 내년 선거를 앞두고 신청사 후보지가 결정되면 탈락한 지역의 민심이 돌아설 수 있다며 일부 국회의원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또 무산 되는 건가요?

[기자]
네, 또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데요,

이에 대해 대구시는 또 다시 정치적 이해관계로 흔들릴 수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김태일 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의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인서트/김태일/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

“이번에 또 흔들리면 정말로 새로운 청사 만드는 일이 기약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시민들은 이번에 꼭 했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이 있는 것 같고요. 정치 일정을 고려하자는 얘기가 있는데, 그것은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앵커]
신청사 후보지 접수에 들어갔다고 했는데..  신청 기준이 따로 있나요?

[기자]
네, 대구시는 다음달 6일까지 신청사 후보지 신청 접수를 받게 되는데요,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는 여론조사를 거쳐 신청사 건립의 기본적 가치를 상징성과 포용성, 합리성에 뒀습니다.

기준면적은 업무공간 5만 제곱미터, 업무 외 시민들이 함께할 수 있는 공간 2만 제곱미터 등 총 연면적 7만 제곱미터, 최소 20m 이상 도로에 접할 것 등을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

여기에 랜드마크로서의 잠재력과 상징성이 있는지 그리고 발전가능성, 접근성, 환경과 경관, 개발 비용의 적정성 등을 따지게 됩니다.

[앵커]
그럼 마지막 선정 절차는 어떻게 되죠?

[기자]
네, 최종 선정은 시민참여단이 맡게 되는데요,

시민참여단은 232명의 시민과 12명의 시민단체 대표, 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됩니다.

공론화위원회는 공정성을 위해 250만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무작위 선정한다는 계획입니다.

여기에는 연령과 성별 등을 반영할 계획인데요, 

특히 일각에서 의견이 분분한 지역할당 문제에 대해서는 각 구군별 인구비율을 떠나 모두 똑같은 수의 시민평가단을 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김태일 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의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인서트/김태일/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

“공공기관 유치하는데 인구에 따라서 결정된다면 굳이 이런 평가를 할 필요가 없는 거죠. 그리고 좀 전에 말씀드렸습니다만 경쟁의 단위가 구군지역이기 때문에 지역에게 똑같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입니다.”

이후 신청 받은 자료들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검토가 이뤄지면 252명의 시민평가단이 12월 중순경 2박 3일 동안 경리된 공간에서 학습과 토론, 평가를 거쳐 점수를 합산해 신청사 후보지를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유치경쟁도 치열한가 보죠?

[기자]
네, 신청사 유치경쟁이 과열양상을 보이자 지난 4월 대구지역 8개 구군이 모여 과열유치경쟁을 자제하자는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여기에다 공론화위원회는 평가점수 1,000점을 만점으로 잡고 과열유치 행위에 대해 최대 30점의 감점하기로 하고 지난 5월 13일부터 적용했는데요,

하지만 이후에도 과열 행위는 끊이지 않았습니다.

최근에는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각 구·군의 과열유치행위에 대한 제보 43건 중 37건을 감점 행위로 규정했습니다.

김태일 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의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인서트/김태일/대구시 신청사건립공론화위원회 위원장]

“이것이 점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저는 봅니다. 지난번 경상북도 도청 선정 과정을 복기해 보니까 그 점수 차이들이 그렇게 많이 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 감점 행위에 대해서 각 지역별로 신경을 쓰셔야 할 것이 아닌가 싶네요.”

오늘 소식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대구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