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생전예수재는 영산재, 수륙재와 함께 불교 3대 의례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데요.

전국 대부분 사찰이 주로 윤달에 봉행하는 이 생전예수재를 서울 봉은사는 해마다 열면서 수행 프로그램이자 전통문화행사로 발전시켜나가고 있어 주목됩니다.

보도에 류기완 기자입니다.

 

살아있는 동안의 업장을 소멸하기 위해 재를 올리는 의식 생전예수재,

불교가 성행했던 고려시대에는 달마다 봉행됐을 만큼 우리 생활과 밀접한 불교 전통의례였습니다.

하지만 억불시대 조선을 거치며 생전예수재는 의식 자체가 간소화되거나 심지어 생략되면서 지금은 전통의 원형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전국 대부분 사찰이 생전예수재를 음력 윤달에만 봉행하는 것도 이런 역사와 무관치 않습니다.

[원명 스님 / 서울 봉은사 주지] :"(생전예수재는) 그 목표가, 그리고 하는 과정이 부처님의 말씀에 따라서 깨달음의 길로 수행하면서 이렇게 나아가고 있는 것...대승불교의 기치인 자리이타행, 보살행 실천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생전예수재입니다."

생전예수재를 처음 실행한 도량으로 알려진 서울 봉은사에서는 불교 전통문화 계승에 앞장서는 차원에서 전통의례를 살리면서 해마다 생전예수재를 엄수하고 있습니다.

어제 봉은사 사부대중은 법왕루에서 생전예수재 입재식을 갖고, 49일간 수행정진에 돌입했습니다.

주지 원명 스님은 입재식에서 생전예수재의 의미를 설하며, 이 기간만이라도 불자로서 육바라밀을 행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생전예수재가 단순한 전통의례가 아니라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원명 스님 / 서울 봉은사 주지] : "다분히 수행 프로그램이라고 제가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 기간 동안에 수행을 열심히 해라...보살행 실천인 육바라밀 실천이 있어요. 육바라밀 실천을 우리가 칠칠재 동안에 열심히 한 번 해보자."

봉은사는 오는 주말부터 매주 한 차례씩, 모두 일곱 번의 재를 봉행하고, 육바라밀을 주제로 법문도 진행합니다.

봉은사 사부대중은 이 기간 매일 금강경을 독송하고, 10월 6일은 회향, 다음 날인 7일은 수륙대재를 원형 그대로 시연하면서 생전예수재 일정을 끝맺을 계획입니다.

[스탠딩]

봉은사 사부대중은 생전예수재 기간  보시, 지계 등 육바라밀을 실천하며 수행정진에 매진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BBS 뉴스 류기완입니다.

영상취재: 최동경 기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