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인류의 스승인 신라 원효 선사의 깨달음과 가르침을 집중적으로 탐구한 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원효 스님의 일심 사상을 후학들이 일상적 의미로 잘못 해석했다는 의견이 제시되는 등 불교학의 지평을 넓히는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김봉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천 4백년 전 원효의 통찰이 오늘날에도 통하는 보편적인 철학이 될 수 있는지, 우리만의 자생인문학의 기반이 될 수 있는가.

‘분황 원효와 깨달음 담론의 구성’을 주제로 지난해에 이어 다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그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리였습니다.

원효의 깨달음 담론을 주도하고 있는 울산대 철학과 박태원 교수는 ‘원효의 일심과 깨달음의 의미’ 발표를 통해 일심에 대한 기존 해석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나서 주목받았습니다.

원효의 일심이 모든 것을 지어내는 불생불멸의 본체인 ‘한 마음’인가, 아니면 차이들과 만나면서 ‘실체 희론의 차별’에 빠지지 않고 허구분별을 허무는 ‘하나처럼 통하는 마음’인가?

박태원 교수는 원효 일심의 언어에는 어디에도 ‘본체.현상 존재론’이라 할 내용이 보이지 않으며, 후대에 용어가 쓰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상적인 의미로 해석한 경향이 보인다며 후자의 해석을 내세웠습니다.

(인서트1) 박태원/ 울산대 철학과 교수, 원효학토대연구소장) 
“모든 차이를 연출해 내는 동일한 궁극적 실재라든가 본체라든가 이런 것 언급한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후학들은 오히려 그것을 설정하고 자꾸 그렇게 읽어내려고 하는 흔적들이 있지요.”

붓다와 원효의 깨침을 비교한 동국대 불교학부 고영섭 교수는 두 분의 깨침이 인간을 자유롭게 했다는 점에서 연속되지만 그 방법에서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내재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두 분의 깨침 과정이 즉자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으며, 둘 사이에 무엇이 연속되고 연속되지 않는가를 밝히려는 시도 자체가 우리의 수행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서트2)고영섭/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세계불교학연구소장
“계명자상, 기업상, 업계고상을 배대하는 이런 대목이데요, 이런 부분에서 원효대사가 보이는 부분이 물론 법장이나 혜원 같은 분과 분명히 다른데 이런 부분이 붓다의 깨달음과 어떻게 접목이 될 수 있을까 이 부분을 제가 사실 고민하는 대목인데요...”

이밖에 김준호, 최건업, 전준모, 강찬국 등 4명의 소장 학자와 연구원들은 금강삼매경론과 대승기신론소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함께 한 청중들도 적극적인 질문과 스스로의 견해들을 밝히며 토론의 열기를 더했습니다.

천년을 격해 있는 붓다와 원효의 깨달음과 가르침은 오늘의 우리에게 어떤 마음자세로 살아야 할지 과제를 남기고 있습니다.

BBS NEWS 김봉래입니다.

영상취재: 허영국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