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공장식 축산과 대량 살처분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제도적 대안이 정치권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생명 존중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하기 위해 ‘동물 복지’를 축산 정책의 핵심 가치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근 사회ㆍ경제 분야 화두로 떠오른 ‘공장식 축산과 대량 살처분’ 문제..

생산성만을 따져 인간과 동물 모두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현 축산업의 단면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부각됐습니다.

돼지 스톨, 배터리 케이지로 상징되는 지금의 가축 사육 방식을 근본적으로 다시 고민해야할 시점이란 지적이 나왔습니다.

자유한국당 김정재 의원은 밀집도 높은 축산 환경이 전염병을 낳고 이를 막기 위한 살충제 살포와 대량 살처분이 축산물 오염과 환경 파괴를 일으키고 있다며 대안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김정재 / 자유한국당 의원]
우리 축산 농가의 소득증대나 생산성 문제가 중요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 선진 축산을 위해서는 우리가 좀 더 사람과 가축이 상생할 수 있는 건강한 사육 방식을 고민해주시고요. 

더불어민주당 오영훈 의원은 지난 2012년 도입된 동물복지농장 인증제도의 이행률이 낮고 축산환경 문제에 대한 중ㆍ장기적인 계획도 부족하다고 질타했습니다. 

[오영훈 / 더불어민주당 의원] 
우리 정부도 2012년부터는 동물복지농장 인증제도를 도입하기도 했고요. 그런데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으면 방향이 바껴야 하는데 왜 방향이 안 바뀌고 계속 그대로 되는 겁니까?

[이개호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지금 아직까지 준비가 부족하다는 게 가장 큰 원인이고요.

대량 사육과 살처분을 고리를 끊고 인간과 동물의 상생을 추구하는 움직임은 축산 선진국에서는 이미 미래형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유럽 의회는 수의 영역에서 인간용 예비 항생제나 처방받지 않은 동물용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새 입법안을 마련하고 오는 2022년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항생제의 남용을 줄여 가축 사육환경과 기존 축산관행을 개선하게 하고 이를 통해 공중 보건과 동물복지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생명존중과 상생의 가치를 담은 새로운 축산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한다는 명제는 불교계가 적극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BBS불교방송과 대한불교진흥원, 동물 보호 단체 카라는 지난 2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대규모 공장식 축산과 대량 살처분 악순환의 구제운동 아젠다 채택회의’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오직 인간의 필요에 의해 비윤리적, 반환경적으로 고질화된 축산 현장의 실체를 확인하고 개선의 필요성을 공유했습니다.

[정갑윤 / 자유한국당 의원]
전염 유무를 구별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처분하는 것은 불교의 오계 중 으뜸인 불살생 관점에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할 것입니다.

<스탠딩>
무분별한 공장식 축산과 살처분의 악순환은 ‘생명과 공존’의 불교적 가르침과도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제도 개선을 위한 농정 당국과 정치권의 전향적인 결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BBS뉴스 최선호입니다. 
(영상취재 = 최동경)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