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왼쪽)가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문수청사에서 여순사건 민간인유족회와 면담하고 있다.
 

< 앵커 >

지방사 연결해서 지역소식 들어보는 전국네트워크 시간입니다. 오늘은 광주로 가봅니다. 광주BBS 김종범 기자!

 

< 기자 >

네~ 광주입니다. 여순사건은 지난 1948년,  전남 여수지역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이 제주 4·3 사건 진압명령을 거부해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민간인이 집단 희생된 사건인데요.

당시 군경과 민간인 만 여명이 숨진 우리 현대사의 비극적인 사건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건발생날짜가 10월 19일이여서  '여수·순천 10·19사건‘, 또 여순항쟁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여순사건이 올해로 어느덧 70주년을 맞고 있습니다.
해방이후 좌우 이념의 대립속에서 수많은 희생자를 냈던 아픈 역사였지만 70년이 되도록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나 희생자들의 명예회복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70주년인 올해만큼은 반드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 앵커 >

그렇다면 특별법 제정을 가로막는 걸림돌은 무엇입니까?

 

< 기자 >

거창 양민학살사건이나 노근리, 제주 4.3 사건의 경우  국가폭력으로 인정돼서 이미 특별법이 제정된 반면 여순사건은 17년째 특별법 제정이 표류하고 있습니다.

여순사건 특별법은 지난 2000년부터 모두 세 차례 발의됐는데요. 국방부의 반대에 부딪혀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국방부가 민간인 학살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때문인데요.

20대 국회 들어서도 민주평화당 정인화 의원 등이 진상조사와 위령사업 추진, 유족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특별법을 다시 발의했지만, 상임위 심사조차 이뤄지지 않는 등 진척이 없는 상황입니다.

여순사건 특별법이 제정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여순사건 70주년 기념사업 시민추진위원회 박정명 위원장에게 들어봤습니다.

◀INS-1▶박정명/여순사건 70주년 기념사업 시민추진위원회
"수많은 민간인과 군경이 숨졌지만 가해자와 피해자와 갈등구조로 간주돼 그동안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국민의정부가 들어선 이후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등 국가 차원의 조사가 이뤄지기 했습니다만 여전히 풀지못한 과제가 남아있는 진행형의 사건으로 갈등과 반목의 연속이기 때문입니다."

 

 

< 앵커 >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 청원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 기자 >

여수와 순천지역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역의 시민단체들은  '특별법제정범국민연대'를 결성해 지난달부터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서명을 받고 있는데요. 서명운동 한달 만에 4만명 넘게 동참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오는 20일 청와대 누리집에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민청원도 제기하기로 했는데요.  한 달 동안 20만 명의 청원동의를 이끌어내서 정부의 답변을 받아볼 계획입니다.

또 피해지역인 전남 동부권을 중심으로 상생과 평화를 염원하는 인간띠 잇기 행사를 진행하는 등 여순사건에 대한 여론을 환기하고 특별법 제정 홍보활동을 확산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 앵커 >

서울 광화문에서는 이번 주말, 여순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위령제도 열린다면서요?

 

< 기자 >

오는 20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여순사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위령제와 추념식이 열릴 예정인데요.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과거 좌우로 나눠 반목했던 민간인 희생자 유족과 순직한 토벌대 유족들이 자리를 함께해 뜻깊은 화해의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가하면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자전거 국토순례도 오늘부터 시작됐는데요

자전거 동호회원 90명은 오늘 여수시청을 출발해서  순천과 충남 천안을 거쳐 20일 위령제가 열리는 서울 광화문 광장에 도착하는 일정으로 국토순례에 나섰습니다.

순례단은 여순사건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을 정부에 요청하고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전국에 알릴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광주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