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파노라마/이슈&피플> 안전관리자 책임하에 용접작업 이루어져야

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출연 : 이용재 교수(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앵커 : 박경수 기자

 

서울 서교동 화재현장(1월3일)

 

[인터뷰 전문]

 

▶ 박경수 앵커(이하 박경수) 사회 쟁점현안과 주목받는 인물을 조명하는 <뉴스파노라마> ‘이슈&피플’... 오늘은 잇따르는 대형 화재에 대해 좀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이용재 교수 전화 연결돼있네요. 이용재 교수님, 안녕하세요!

 

▷ 이용재 교수(이하 이용재) : 네, 안녕하십니까!

 

▶ 박경수 : 겨울철이라서 그런지 요즘 화재 사고가 많은데 원래 겨울에 이렇게 화재가 많이 일어나나요?

 

▷ 이용재 : 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맞습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1년에 약 4만2천여건이 화재가 발생되고 있는데요. 우리가 동절기라고 하는 12월 1월 2월 이 3개월 기간이 다른 달에 비해서 약 20%~30% 정도 발생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그렇습니다.

 

▶ 박경수 : 그렇군요. 지난달에 충북 제천 화재 참사가 있었고요. 또 성탄절이죠. 경기도 광교의 신축공사장에서 또 큰 불이 나서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또 어제는 서울 서교동 철거건축물에서 또 큰 불이 났었는데... 이렇게 올 겨울에 특히 큰 불이 많이 일어나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 이용재 : 그건 올 겨울이라고 해서 특별히 그렇게 큰 불이 난다고 단정 짓기는 좀 어렵고요. 굳이 좀 이유를 찾자면 올해가 좀 특이하게 12월 중순 이후부터 계속해서 좀 혹한이라고 할까요? 이런 부분이 좀 올해가 특이하게 나타나는 거 같더라고요.

 

▶ 박경수 : 아, 많이 춥죠, 올해가.

 

▷ 이용재 : 어느 정도는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는 있습니다.

 

▶ 박경수 : 그렇죠. 추위가 일찍 시작됐기 때문에 좀 영향이 있을 수 있고 건조한 날씨도 또 계속 되고 있는 것 같은데 이런 건조한 날씨가 실제 화재사고를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가요?

 

▷ 이용재 : 그건 아주 상당히 관련성이 있습니다. 좀 전에 말씀드렸지만 우리가 건조한 계절이라고 하면 대략 한 11월 후반부터 시작해서 2월 또는 3월 초까지 보통 동절기 내지는 아주 굉장히 건조한데요. 이 때 화재 발생률이 굉장히 높고요. 또 하나는 추우니까 그 공사장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주변에서 이제 몸을 녹이려고 불을 피우거나 이런 행동이 다른 때보다 굉장히 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우선 있고요. 그 다음에 이 동절기나 이럴 때가 굉장히 건조하죠. 뭐 눈이 온 경우도 물론 있겠지만 다른 어떤 계절보다도 건조하고 또 한 번 이게 습하면 혹시 조그만 불이 났다 하더라도 그 진행속도도 굉장히 느리고 심지어는 아주 습하면 그냥 꺼질 수도 있겠지만 요즘같이 이렇게 아주 건조하고 이런 날씨가 지속될 경우에는 불이 나기도 쉽고 끄기도 어렵고 지속되기도 싶다는 그런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박경수 : 네, 근데 대형 화재 사고가 일어났을 때 원인들을 보면요. 좀 용접이라든가 이런 불꽃 작업을 하다가 불이 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뭐 좀 공사현장에서 용접과 관련된 안전관리에 허점이 있는 것은 아닐까요?

 

▷ 이용재 : 물론 뭐 그 부분이 있다고 결론적으로 말씀 드릴 수 있고요. 공사현장이라는 데가 화재 측면에서 위험성이 있다는 건 뭐가 있냐면 일단은 공사 현장도 마무리 공사 할 때 대형 불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재 공사할 때 보다.. 왜 그러냐면 마무리 공사에는 주로 이제 내장재 들어가고 단열재 들어가고 벽지 페인트 이런 아주 불에 잘 타는 이러한 것들이 현장에 많이 쌓여있는 시점이 이 마무리 공사 단계거든요. 그런 가연물이 일단 많다는 이런 여건이 하나 있고요. 또 하나는 공사 중에는 새 건물은 짓든 아니면 현재 있는 건물을 개보수 하든 기존에 있었던 소방시설이 작동을 안 하거나 또는 일부러 공사상 어쩔 수 없이 소방시설을 멈춰놓거나 이런 부분이 굉장히 빈번하고요. 그래서 그 우리 관련 규정이나 이런 데 보면 그런 용접을 하거나 용단 하거나 이런 거 할 때 그 불꽃에서 불이 워낙 많이 나고 특히 단열재에 붙고 가연물질인 벽지나 이런 데서 안전관리자를 반드시 배치하고 그리고 그 안전관리자 책임 하에 용접작업이든 용단작업이 이루어져야 되고 그 다음에 또 하나는 최소한의 소화기라든지 방화포라는 게 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담요 같은 건데 불 나면 그걸 확 덮어 버리는 거죠. 그런 거를 좀 비치하고 좀 해야 되는데 그런 부분이 잘 안 지켜지는 것 같고 또 하나 안전관리자가 있다 하더라도 화기안전관리자가 있다 하더라도 그 사람의 그 고유업무 만을 주는 게 아니라 덤으로 다른 일을 하다가 이것도 하라는 식으로 이렇게 업무가 주어지는 경우가 현장에서는 아주 비일비재합니다. 그러니까 안전관리자에 의한 안전관리감독 화재안전관리감독 이런 것들이 미흡한 게 현실로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박경수 : 네, 한 가지만 더 여쭤볼게요. 이 국내 공사장에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또 와서 일을 하시잖아요. 근데 언어적 장벽도 있고 뭐 이런 소통의 문제 때문에 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지적도 있더라고요.

 

▷ 이용재 : 아, 그것도 상당 부분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 왜냐면 요즘에 건설현장에 보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나와 있는데 뭐 어떤 긴급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나 이럴 때 그 의사소통이 문제도 있고 또는 그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공사 시작 전에 안전관리자가 공사현장에서 화재 뿐만 아니라 추락 사고라든지 이런 안전 관련된 사고가 많이 빈발하다 보니까 그런 교육을 좀 시켜야 되고 이런데... 아무래도 외국인 근로자다 보면 의사소통이 문제도 있고 또 이제 일용직으로 오는 경우도 많고 이러다 보니까 의사소통의 문제, 안전교육에 대한 문제, 이런 부분들이 좀 취약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것이 결국 화재가 났을 때나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죠.

 

▶ 박경수 : 네, 오늘 교수님 인터뷰 이후에 청취자분들께서도 관심을 많이 갖고 주의하셔서 더 이상 좀 큰 화재사고는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 드네요.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이용재 : 네, 감사합니다.

 

▶ 박경수 :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이용재 교수였습니다.

 

 

#BBS 뉴스파노라마 ;

월요일∼금요일 (주5일) 18:00∼18:40(40분)

 

○ 인터넷, 앱 : bbsi.co.kr

○ 라디오 주파수 :

FM 101.9 MHZ (서울, 경기) FM 88.1 MHZ (인천)

FM 89.9 MHZ (부산) FM 94.5 MHZ (대구)

FM 89.7 MHZ (광주) FM 100.1 MHZ (춘천)

FM 96.7 MHZ (청주) FM 88.3 MHZ (울산)

FM 88.1 MHZ (진주) FM 105.5 MHZ (포항)

FM 89.5 MHZ (창원) FM 97.7 MHZ (안동)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