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 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 연구 종합보고서 내놔

[사진자료=문화재청 국립문화연구원]
[사진자료=문화재청 국립문화연구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불교전적 등 고문헌이나 지류문화유산 등에 사용된 전통한지 제작의 원천기술을 규명하고 연구하기 위해 고문헌과 지류문화유산, 한지 생산 공방 조사 결과를 담은 '문화재 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 연구 종합보고서 – 조사편-'을 발간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연구원은 한지(韓紙)가 뛰어난 안정성과 보존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문화유산의 원형과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보존처리와 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재질에 대한 안정성과 보존성이 요구되는 전통재료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따라 연구원은 최근 문화유산 복원용 한지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한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재 복원용 전통한지의 품질기준 연구’사업을 통해 전통한지의 제작기술을 과학적으로 규명해왔고, 그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 보수·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을 마련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자료=문화재청 국립문화연구원]
[사진자료=문화재청 국립문화연구원]

보고서에는 지난 5년간 실시한 한지 관련 고문헌 조사 결과와 연구 동향 분석을 집약한 자료조사 내용을 담았으며, 현장조사는 보존처리 대상 지류문화유산의 과학적 조사와 분석, 국내 한지 생산 공방의 제조공정과 현황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수록했습니다.

조사 결과에서는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등 약 4천6백여건의 고문헌에 기록된 한지의 다양한 명칭을 제조기술, 사용 용도 등을 토대로, 원료와 가공법 등 7개 유형으로 분류, 수록했으며, 학위·학술지 논문과 관련 보고서, 도서 등을 대상으로 파악한 국내 한지의 연구동향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고 연구원은 밝혔습니다.

이외에도 현장조사 결과에서는 국내 지류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실시한 크기, 두께, 시료 수습, 색도 분석, 현미경 관찰 등 과학적인 분석 결과와 함께 국내 한지 생산 공방 24곳의 현황과 전수조사 내용을 담았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이같은 결과가 향후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와 한국산업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 제정 등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 보고서 원문은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지식e음 누리집(http://portal.nrich.go.kr)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문화유산 보수·복원용 재료로서 한지의 안정성과 현장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학적 근거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