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윤일현교육문화연구소 대표 윤일현
윤일현교육문화연구소 대표 윤일현

■ 대담: 윤일현교육문화연구소 윤일현 대표

■ 진행: 방송부 정시훈 기자

■ 방송: BBS대구불교방송 ‘라디오 아침세상’ 08:30∼09:00

(대구 FM 94.5Mhz, 안동 FM 97.7Mhz, 포항 105.5Mhz)

▶정시훈 기자: 교육진단 시간입니다. 완연한 가을입니다. 이 좋은 계절에 알찬 결실을 거두시고 행복하시기를 빕니다. 오늘은 부모 자녀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가에 대해 얘기해 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윤일현교육문화연구소 대표 윤일현 선생님 전화로 모셨습니다.

윤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윤일현 대표: 예 안녕하십니까.

▶정시훈 기자: 우리 사회는 교육 문제를 다루면서 행복해야 한다는 점은 크게 강조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자녀 교육에서도 행복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텐데요. 행복해야 교육적인 성과도 있을 텐데 이 점에 대해 좀 먼저 말씀을 해주시겠습니까?

▷윤일현 대표: 방금 말씀하신 대로 기쁘고 즐겁고 행복해야 학업의 생산성도 높아집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 문제에 대해서 굉장히 좀 인색했죠. 아이가 즐겁고 행복하면 뭔가 잘못된 것 같은 그런 생각을 많이 가졌습니다. 이는 힘겨운 시절을 거쳐 온 부모님들의 사고방식과도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옛날 농경 사회 특히, 산업사회까지만 해도 아이들이 시골에서 뭘 먹고 싶으니 좀 해달라고 하면 그 엄마들이 자주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먹고 싶은 것 다 먹고 어떻게 돈 모아서 논과 밭을 사느냐. 알뜰하게 살며 온갖 고생을 해야 논도 사고 밭도 삽니다. 그리고 이제 이 정도면 됐다 싶어서 긴장을 풀 즈음에는 병이 들어서 죽게 되는 경우가 많죠. 삶의 과정 자체를 고행하 말아야 합니다. 일이나 공부나 그렇게 하지 말고 과정도 즐길 수 있는 그런 생활의 지혜를 우리가 터득하고 실천해야 될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에 들어오면 공부 많이 했느냐 진도 어디까지 나갔느냐 이렇게 묻지 말고 오늘 하루가 즐겁고 행복했느냐 이렇게 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을 우리가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면 온 가족이 행복할 수 있고 성적도 향상될 수 있다는 걸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정시훈 기자: 삶의 과정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또 그 과정의 일부가 공부도 포함이 된다는 말씀이신데요. 우리가 행복해지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말씀을 해 주시겠습니까?


▷윤일현 대표: 행복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닙니다. 행복해지려면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즐거운 경험을 자주 하고 또 즐거운 경험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의 부모, 특히 집안의 분위기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낙천적인 부모에게서 낙천적인 자식이 출생할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즐거움을 잘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또 비슷한 성격의 사실을 알이를 낳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이야기 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같이 행복해질 수 있을까 이 점에 대해서 좀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먼저 이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일이든 공부든 어떤 것에 몰입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우리는 무엇인가 몰입할 때 시간이 멈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이 말은 너무 재미있는 게임을 하거나 진심으로 좋아하는 친구와 놀 때는 그 시간이 일상생활의 시간보다도 더 짧게 느껴지는데 이게 바로 몰입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이 몰입을 경험한 사람은 지루함과 좌절이 아닌 생동감과 활력을 그 선물로 받는다고 합니다. 단순히 즐거운 것이 아니라, 도전을 위한 동기도 부여받게 된다는 것이죠. 삶을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말입니다. 몰입이론은 칙센트미하이 교수 같은 분들이 강조하는 덕목입니다. 우리는 일과 공부, 이 모든 일을 즐겁게 몰입하는 훈련을 할 때 행복도는 더 높아진다는 걸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의미 있는 삶을 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물론 어느 누구의 삶도 의미 없는 삶이 없고, 또 의미를 추구하지 않는 삶은 없겠지만, 오늘은 이 관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하고 싶은 의미 있는 삶이란 자신만의 강점을 인식한 뒤 그 강점을 이용해 더 큰 무엇인가를 위해 봉사하는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봉사를 통해 긍정적인 감정을 얻게 됩니다. 인생의 중간 중간마다 우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또 남을 위해 살아본 경험이 있는지 물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상당수의 사람들은 그런 경험이 거의 없거나 있어도 좀 부족하다고 느끼며 아쉬운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인간으로 태어나서 자기 자신, 또 좁게는 자기 가족만을 위해 사는 것도 물론 보람이 있지만, 더 큰 만족감은 봉사죠. 봉사는 봉사를 받는 대상보다는 봉사하는 사람을 훨씬 기쁘고 행복하게 해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도 버스나 지하철에서 자리를 양보하며 오고 가는 감사의 인사를 나누거나, 자원봉사로 한번 땀을 흘려본다거나 이런 것들이 삶을 좀 더 의미 있게 합니다. 또한 더 적극적으로 살아야겠다는 긍정적인 에너지와 힘을 준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내 자신의 삶을 충만하게 하기 위해서도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내 능력이 닿는 한 봉사활동을 하면 행복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우리가 이 가을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정시훈 기자: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노력하고 연습을 해야 된다. 또 긍정적인 에너지에 큰 힘이 있다. 이런 말씀이었습니다. 이와 덧붙여서 좀 더 행복해지기 위해서 어떤 부분이 필요할지 간단한 조언을 듣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윤일현 대표: 우리가 앞부분에서도 행복은 가만히 있는데 어느 날 어떤 환경이나 사정에 의해 주어지기보다는 본인이 적극적으로 만들어가는 요소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즐거움, 만족, 행복감 이런 것들은 긍정적인 정서입니다. 반면 불안, 공포, 긴장감 같은 느낌들은 부정적인 정서입니다. 우리 뇌에는 감정과 정서를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들이 존재합니다. 부정적 정서를 담당하고 있는 편도체, 시상하부 등은 대뇌피질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내부 깊숙이 안쪽에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일반적으로 내부와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본능적인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바깥쪽에 있는 대뇌 피질을 향해 갈수록 후천적이며 해석이 필요한 것들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100%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정서를 담당하는 뇌 구조물들은 안쪽에, 즉 뇌 안쪽 깊숙한 곳에, 긍정적인 정서를 담당하는 뇌 구조물들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분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긍정적인 무엇인가를 느끼기 위해서는 우리는 후천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공포나 불안은 우리가 크게 노력하지 않아도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것이지만, 행복과 기쁨은 우리가 그 느낌들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만 가질 수 있다는 겁니다.

우리는 타인과 나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실천하는 생활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가을, 온 가족이 서로 행복하고 즐거운 일을 찾아서 함께 실천하며 긍정적인 힘을 많이 얻으면 좋겠습니다.

▶정시훈 기자: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윤일현교육문화연구소 대표 윤일현 선생님이었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