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관련해 남아있던 대부분의 방역 조치 해제가 발표되면서 사상 코로나19는 풍토병인 '엔데믹'으로 전환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오전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고 6월부터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3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다고 했다.

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고 감염병 등급도 2급에서 4급으로 내려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를 없앤다고 밝혔다.

마스크 착용 의무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하고 모두 권고로 전환된다.

2020120일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고강도의 확진자 격리 조치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다양한 방역 규제가 34개월 만에 사실상 종식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조치다.

정부의 11일 발표는 남아있던 대부분의 방역 조치를 해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사실상의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선언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발 신종 감염병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지난 2020120일이었다. 이후 약 34개월간 우리나라는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여야 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선언은 그해 229일 이뤄졌다.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는 처음 들어본 말이었다.

국민 모두가 마스크를 써야 하는 상황에서 마스크 수요가 늘자 마스크 5부제라는 신기한 일까지 벌어졌다. 사재기가 일상화됐고 급기야 5부제까지 나온 것이다.

20212월에는 의료진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돼 많은 국민들이 백신에 의존했다. 동네 병원까지 백신을 접종 받으려는 줄이 길게 늘어서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20217월 수도권에서부터 최고 단계인 4단계에 진입했다.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의 모임은 금지되고, 1인 시위 이외의 집회와 행사는 전면 금지됐다. 결혼식과 장례식은 친족만 참석할 수 있었다.

그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121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첫 발생과 함께 유행이 다시 확산하면서 발이 묶이게 됐다.

점차 상황이 나아지면서 20223월 말부터는 접종을 완료한 입국자에 대한 격리를 면제했고, 4월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며 코로나19 감염병 등급도 1급에서 2급으로 낮췄다.

마스크 착용 의무도 20225월 실외 일부 공간을 시작으로 점차 해제돼 병원급과 일부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하고는 완전 해제됐다.

코로나19의 종식까지는 관계 공무원과 의사 간호사 등 수많은 의료진들의 수고가 있었다.

이들은 쪽잠을 자면서 환자를 돌봤고 한여름에는 두터운 방역복을 입은 채 숨쉬기조차 힘든 상황에서 헌신했다.

당시 질병청 정은경 청장을 비롯한 질병청 관계자 역시 힘들기는 마찬가지였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시간이 아깝다며 머리도 짧게 자르고 염색도 하지 않은 채 하얀 머리로 매일 국민 앞에 나와 코로나19 상황을 브리핑했다. ㅏ장 먼저 출근해 가장 늦게 퇴근하는 공무원이었고 업무추진비는 김밥을 사는데 쓸 정도였다. 그 뒤에는 수많은 공직자들의 노고가 숨어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밥차를 대동하고 질병청을 깜짝 방문해 이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사회곳곳에서 덕분입니다라는 감사인사가 쏟아졌다.

이처럼 대부분의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고 관계자들에게 고마움을 가진 전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만큼 공직자와 의료진들의 헌신이 국민의 피부에 와 닿았기 때문이다.

그런 와중에도 당시 정치권에서는 일부 야당의원을 중심으로 과잉방역이니 백신이 문제가 있다느니 정쟁을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참 이상한 인간들이라는 질타가 쏟아졌다.

국민의 생명이 백척간두에 서 있는데도 정부 흠집내기에만 바쁜 정치인들을 보면서 국민들의 실망은 더더욱 커져갔다.

이제 국민들은 34개월 만에 팬데믹을 넘어 엔데믹을 맞게 됐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종식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11만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하루에도 10~20명의 사망자가 나온다.

정부는 엔데믹을 선언했지만 과제는 많다.

PCR검사가 사라지면서 감염 여부가 불투명해 지면서 감염자는 더 크게 늘어날 수 있고 감염이 된 사회적 약자층은 치료받을 권리가 좁아지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그동안은 아프면 쉴 권리가 있었으나 이제는 ‘(감염으로)아픈 것은 개인 책임이 될 것을 우려한다.

특히 병원이나 요양원 등 취약 시설의 감염 확산을 경계해야 한다. 이들은 건강취약계층이기 때문에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고 우리나라 역시 이에 맞춰가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할 바는 아니다.

다만 정부의 종식 선언이 향후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 감염취약자나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건강권 보호를 더욱 촘촘하게 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생명은 단 하나 뿐이고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해야하는 것이 헌법적 가치, 즉 정부가 해야할 일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