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족’이 늘고 있습니다. 김포족은 ‘김장을 포기하는 사람들’을 줄인 말인데, 요즘 1인 가구가 많아지고 간편한 식생활이 인기를 끌면서 생겨난 신조어입니다. 사실, 김장은 배추를 직접 사서 절이고, 다듬고, 씻고, 자르고, 갖은 양념으로 버무리는 과정이 시간과 노동면에서 쉽지만은 않은 일입니다. 김장 뒤에 며칠씩 앓아누우시는 부모님을 뵈면, 그 어려움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 비싸기는 해도 대형마트에서 쉽게 사 먹는 김치 맛에 길들여지고 있습니다. ‘포기’는 배추 셀 때나 쓰는 말이라던 너스레는 이제 김치에게도 예외가 될 수 없게 됐습니다. 

우리의 ‘김장문화’는 지난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김장문화는 천년의 역사를 품은 채 우리 민족의 대표 발효음식이자 중요한 일상문화로 자리 잡았고, 때문에 인류문화유산으로 보존될 가치와 우수성이 인정됐습니다. 김치를 두고 종주국 시비가 벌어지던 그 즈음,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원조 김치 종주국의 체면을 그나마 세우는 계기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체면이 10년도 채 못돼 구겨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오죽했으면 학생들 교과 과정에 ‘김장문화’라는 선택과목을 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올까요.

초겨울 추위가 시작되면서 바야흐로 김장철입니다. 이맘때면 늘 온 가족이 서로 도와 수십 포기의 김장을 했고, 한데 모여 따뜻한 흰 쌀밥 위에 김치를 얹어 먹으며 노동의 고단함을 잊었습니다. 김장은 특히 농경사회 속 공동체의 벽을 허물고 함께 어울리는 축제의 장이자, 부의 규모에 상관없이 조금이라도 힘을 보태면 나누고 배려할 수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한때 김장이 권력 남용과 갑질 문화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적이 있기는 했지만, 김장의 기본 정신은 나눔과 배려에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잠시 사라졌지만 서울시청 앞에서는 수천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김장행사가 열리곤 했습니다. 어려운 이웃들에게 수천 포기의 김장김치를 전하는 ‘사회적 나눔’은 매년 국내외 언론의 달력기사였습니다. 규모는 작지만 불교계 또한 전국의 주요 사찰 마당에서 매년 신도들과 함께 김장을 담궈 사회적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던 이유도 김치의 우수성 자체보다는 이 처럼 김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족과 이웃에 대한 ‘나눔’과 ‘배려’의 문화가 스며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때마침 오늘은 김치의 날입니다. 배추 같은 각종 재료들을 하나하나씩 모아(11월), 항산화와 항암 등 무려 22가지의 효능(22일)이 있는 김치를 만든다는 의미가 날짜속에 담겼습니다.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지나고 단계적 일상회복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사회는 '공동체적 삶'보다는 '각자도생의 삶'에 더 몰입하고 있습니다. 김치의 날을 맞아 ‘나눔’과 ‘배려’라는 김장 문화의 아름다운 전통을 다시금 되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