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원지 금동보살상 출토 당시, 최대크기 화려함에 화제
국립문화재보존과학센터, 불상복원..청동녹 제거가 난제
5년동안 현미경 녹제거..도금 위 섬세한 먹선도 찾아내
3D기법으로 보존마무리..화려한 자태로 지친 국민 위로

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 앵커 >

지난 2015년 강원도 양양 선림원지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금동보살상이 5년여의 보존처리를 마치고 화려한 금빛원형을 드러냈습니다.

지난한 복원과정 뒤에는 천년이상 불상에 쌓인 두꺼운 청동녹을 현미경으로 찾아 일일이 제거하고 살려낸 문화재보존과학센터의 노고가 있었습니다.

박성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터 >

2015년 강원도 양양 선림원지에서 출토된 금동보살상.

출토지가 명확하고, 역대 최대 크기에 화려함까지 관심은 폭발적이었습니다.

[인터뷰1]

이재성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사
“강원도 양양 선림원지에서 출토된 금동보살입상은 출토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역대 최대크기의 금동보살입상입니다. 특히 화려하게 조각된 대좌와 광배가 남아있었기 때문에 출토당시부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천년여의 시간만큼 불상을 덮은 두꺼운 청동녹은 복원작업의 최대 난제였습니다.

그리고 5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불상의 금빛과 원형 복원에 집중했고, 제작기법과 제작연대까지 파악했습니다.

[인터뷰2]

이재성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사
“이런 청동녹이 단단하게 고착돼있었기 때문에 (보존처리에) 굉장히 어려움이 많았습니다.하지만 저희가 현미경으로 관찰을 하면서 이 도금층을 한겹한겹씩 제거를 하게됐구요.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서 금동보살상의 원형과 가치를 찾을수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현미경에 매달려 불상 표면의 녹 제거에 할애했습니다.

그리고 도금층 표면에서 섬세하게 그려진 눈썹과 눈동자 먹선까지 찾아냈고, 수습한 종이재질로 탄소연대를 측정해 7에서 9세기, 통일신라시대 작품임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3]

이재성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사
“특히 전에 알수없었던 금 도금층위에 먹으로 그려진 눈썹이라던지, 눈동자, 그리고 눈, 수염을 찾아낼수 있었습니다. 저희가 보존처리를 하면서 찾아낸 큰 성과라고 말씀드릴수가 있습니다.”

변형되거나 접합이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첨단 3D기법을 활용해 불상을 대좌에 연결시키는 마무리 작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천년의 묵은 때를 벗고 화려한 금빛 자태를 드러낼 금동불상은 코로나로 지친 국민들에게 위안과 희망의 메시지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BBS뉴스 박성용입니다.

[자료제공=문화재청]
[영상편집] 최동경 기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