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이른바‘ 집콕’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외부활동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 보내는 사람들을 ‘집콕족’이라고 하는데, 코로나가 바꿔놓은  가장 큰 일상의 변화이다. 꼭 ‘집콕’이 아니더라도 '코로나 19' 로 각종 모임이 현저하게 줄어들다 보니 집에 있는 시간이 확실히 많아진 요즘이다. 직장인들의 경우 ‘퇴근 후 한잔’ 혹은 ‘퇴근 후 식사’ 가 아닌 ‘퇴근하면 집’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여기에다 코로나 19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면서 과거와 달리 확실히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집에 대한 개념. 인식도 바뀌고 있는 듯 하다. 바쁜  일상으로  미처 돌아보지 못했던 ‘주거공간’을 돌아보게 되고, 그 속에서 가장 편안하고 행복감을 찾을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생각이 많아졌다. 한 지인은 “이제야 가족이 보이고, 내가 사는 집 구석구석이 눈에 들어오니 그동안 내가 이런 집에서 이렇게 살았구나 자각하게 됐다”라고 한다. 그러면서 “그동안 잊고 지냈던 집에 대한 로망이 살아났다”고 한다. 적어도 이런 생각들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니 ‘인테리어 제품’이나 ‘가전제품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집’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들도 많이 제작되고 있고 시청률 또한 높다. 필자도 연예인들이 팀을 구성해 의뢰인의 요구에 맞춰 집을 구해주는 ‘구해줘 홈즈’라는 프로그램을 즐겨본다. 이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하는 주택들은 ‘전원주택’들이다. 편리성 때문에 아파트 생활만 고집해왔으나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집’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고 ‘전원주택’에 대한 로망이 생겼다. ‘감탄을 자아내는 인테리어에 잘 가꿔놓은 정원, 탁트인 조망’.  굳이 멀리 차를 타고 이동하지 않아도 '집'이 그야말로 '힐링'의 명소 그 자체다. 올곧이 주거문화가 있는 살아있는 ‘사는(LIVE) 집’이다. 집 값 또한 합리적이다.  하지만 당장 이사 결정을 내리는 건 쉽지 않다.  ‘출퇴근 문제도 있고 아이들 교육, 도시에서 누릴 수 있는 삶의 편의성’ 등을 포기하기 어렵다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이미 도시 삶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유행'에 세뇌되어 있다.  최근들어 아파트 단지 조성에 ‘숲세권’이나 숲이나 공원같은 주거환경을 갖춘 ‘공세권’ 같은 용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전원주택에 대한 로망이 아파트의 기능에 추가되면서 새로 짓는 아파트에는 기능이나 효율성, 편리성에 삶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가미되고 있다. 문제는 이런 기능들이 가미될 수 록 집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는다는 점이다. 결국 서민들은 엄두도 못 낼 정도의 고가의 아파트가 등장하고 ‘집’ 한 채로 인한 빈부격차는 갈수록 벌어진다.  ‘집’이라는 개념에 투자의 가치가 더해지면서 ‘똘똘한 집 한 채’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난 요즘이다.

박인석의 ‘아파트 한국사회’를 보면 “왜 한국은 아파트 공화국이 되었는가에서 아파트가 대세가 된 이유, 집 값이 오르면 좋은 것인지, 한국의 아파트 평면도는 왜 이렇게 생겼고 다 똑같은지”, 집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을 던진다.

일제시대를 거쳐 해방 이후 가난을 겪고 서구문화가 밀려 들어오면서 한국의 주거문화는 과거와 완전히 단절됐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똑같은 평면도에 평수만 다른 집에서 비싼 대가를 치르고 불편하게 살고 있다. 아파트, 단독주택, 전원주택, 한옥의 좋고 나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외국인들이 한국에 오면 가장 신기하게 생각하는 것이 ‘카페가 너무 많고 근무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공부도 일도 집 밖에서 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밖에서 보낸다’는 점이다. 이유를 물으면 ‘집에서는 일이 안되고 공부가 안된다’, 다시말해 ‘집이 불편하다’는 것이다. 가장 편안해야 하고 소중해야 할 공간이 불편한 이유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  ‘사고 팔아서 돈을 벌겠다’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집’에 개입되면서 부터 '집'이 불편해진 것이 아닐까 싶다. 유독 우리 국민들은 ‘땅’과 ‘집’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이런 심리들이 부동산 광풍을 조장하고, 평생 ‘집’ 한 채에 올인하게 만들며 ‘삶’을 힘들게 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코로나 19'는 ‘밖에서 돌던 우리들’을 집 안에 반강제적으로 밀어넣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디지털 근무환경 구축’을 강요하고 있다. 디지털 업무환경은 조직문화, 일하는 공간, 환경제도와 프로세스, 사람과 리더십에서 일어나고 있고, 일하는 방식의 혁명과 직원이 행복한 회사가 출연하면서 아예 사무실 없이 ‘집’에서 일하는 풍토도 만들어지고 있다. '코로나 19'는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쉼 없이 돌아가던 많은 것들을 멈추게 하고 성찰의 시간을 갖게 하기도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혜민 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에 주목해보면 어떨까? 사는(BUY)집이 아닌 ‘주거문화’가 있는 사는(LIVE)집의 개념을 일깨웠으면 한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