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쏠림이 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각종 정보가 동시에 전파되고 상호간의 의존성이 크게 높아졌으니 쏠림이 불가피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이나 지나치면 위험이 초래되는 법입니다.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미국의 금융위기도 그렇다 할 것입니다. 유동성 버블, 부동산 투기, 파생상품에의 쏠림 등으로 월가는 ‘사망선고’를 받고 있습니다. 그 위기는 이제 미국의 금융시장 뿐 아니라, 전세계와 실물경제로 전염되어가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쏠림의 근저에는 언제나 탐욕과 두려움이 있습니다. 평상시에 쏠림을 만들어내는 것이 탐욕이라 한다면, 위기시에 쏠림을 만들어내는 것은 두려움입니다. 그러나 두렵다하여 대응이 다른 쪽으로 쏠리다 보면 더 큰 위기가 초래되는 것이 쏠림이 가진 특징이라 할 것입니다. 미국의 한 교수는 최근 연구에서 사람들이 신용위기와 같은 상황에서 군중심리에 휩쓸리기 쉽다는 결과를 내 놓았습니다.





  지금 우리의 정책도 그런 쏠림의 위험을 경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환율에서 그렇습니다. 일시적 수급 불일치에 의한 원화절하라고만 하기에는 그 불안심리가 너무 크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의 환율시장 개입이 불가피하다할 수는 있으나, 그 개입이 과도하거나 원칙없이 찔끔찔끔하는 형태가 되면 외화만 소진되고 환율의 가격기능은 왜곡시켜 후일 더 큰 화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개입에도 나름대로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결국 시장의 안정을 기하는 길이라 보입니다.





  둘째, 부동산 문제도 그렇습니다. 가계대출 문제로 부동산 가격의 붕괴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 그렇다고 또 다른 거품이나 부실을 만드는 일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방 건설사의 줄 도산을 방지하는 응급조치는 필요하겠으나, 현 시점에서 신도시 건설, 그린벨트 해제 같은 수도권 중심의 공급위주 정책은 경기의 부양보다 오히려 지방의 부동산 시장을 더 부실화시키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