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러니하게도, 민정수석 출신의 문재인 대통령이 '민정수석 리스크'에 빠졌다.

문재인 정부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자녀 입시비리와 사모펀드의 의혹 등이 공분을 사면서 국정지지율에 찬물을 끼얹고 퇴진했다.

후임인 김조원 전 민정수석은 청와대의 ‘참모진 1주택 보유’ 권고 지침의 직간접적 압박 속에서도 집을 사수. 결국 ‘직(민정수석)보다 집(강남 아파트)을 택했다’는 비아냥 속에 1년만에 퇴진했다.

이어 후임을 맡은 김종호 전 민정수석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간 갈등을 중재하지 못하고, 오히려 잘못된 법리해석으로 상황을 불리하게 만들었다는 책임론 속에 불과 넉달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신현수 민정수석. 문재인 정부의 첫 검찰 출신 민정수석으로서 검찰개혁을 완수하는 역할에 일조할 것이란 기대가 모아졌지만, 박범계 법무부 장관 주도의 검사장급 검찰 간부 인사 과정에서 ‘패싱’ 논란을 자초하며 임명 2개월 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신 수석은 논란이 커지자 자신의 거취를 문 대통령에게 일임한다며 복귀했지만, 오히려 파동 수습에 나선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마저 검찰개혁 '속도조절론'을 입에 담으며 당청간 엇박자가 나고 있음을 드러내버렸다.  

문 대통령이 신 수석을 유임시킬 것인지 아니면 또 한차례 민정수석 인사를 할 것인지,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든 ‘이 정권의 최대 리스크는 처음부터 끝까지 민정수석’이라고  기록될 듯 하다.

문 대통령은 조국 전 민정수석에게 ‘마음의 빚’을 가질게 아니라 민정수석 리스크에 실망하고 국정동력의 쇠잔함을 걱정하는 국민들에게 ‘마음의 빚’을 졌음을 표현해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