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조계종이 코로나19 확산의 진원지로 알려지고 있는 신천지의 선전 활동을 많은 언론들이 ‘포교’라고 보도하자 이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포교는 원래 불교용어 였다며 사용에 신중을 기해 달라는 건데요.

오늘 뉴스인사이트에서는 ‘포교’ 외에도 불교에서 먼저 사용했지만, 이제는 기독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문화부 홍진호 기자와 전화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

먼저 조계종이 그제 공식 입장문을 낸 이유는 무엇인가요?

 

먼저 조계종은 “기독교계는 정상적인 선전은 ‘선교’로 이단이나 비정상적 선전은 ‘포교’라는 개념으로 구분해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즉 다수의 언론에서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규정한 신천지 활동을 선교가 아닌 포교란 용어를 사용해 포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겁니다.

포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린다는 뜻을 지닌 불교용어로, 종단 내에 포교원이 별도로 있고, 이를 전담하는 재가불자를 포교사라고 오래전부터 사용해 왔다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포교와 선교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각 종교를 알리는 일을 여러 사전에서도 포교는 불교 용어로, 선교는 기독교 용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담당하는 이들을 불교는 포교사, 기독교는 선교사라고 지칭합니다. 

하지만 기독교계 언론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신천지의 선전을 포교라고 써왔고, 일반적인 기독교 선전을 선교라고 써왔습니다.

 

그런데, 포교라는 용어 외에도 현재 기독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많은 단어들이 원래는 불교용어였던 것들이 많죠?

 

네 아무래도 한국불교가 170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에, 현재 기독교 종교용어로 굳어진 여러 단어들 중 상당수는 원래 불교 용어였습니다.

예를 들면, 장로라는 단어는 개신교에서 목사를 도와 교회 운영에 참여하는 최고의 직급을 뜻하는 데요.

사실 장로라는 단어는 승가에서 지혜와 덕망이 높은 원로를 뜻하는 용어였습니다.

조계종의 소의전인 금강경에도 장로 수보리 존자라는 말이 나오는데, 여기서도 장로는 교단 내 원로를 지칭하는 겁니다.

기독교에서 쓰는 집사도 원래 절에서 여러 가지 일들을 처리하는 소임자를 뜻했습니다.

그러다가 조선말 개화와 함께 기독교가 집사를 교회조직 용어로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장로와 집사 등의 단어가 불교 용어 였다고 알려지게 된 계기는 교회 장로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불교계와 갈등을 빚으면서 몇몇 언론에 회자 된 이후부터입니다.

 

이밖에도 불교용어에서 나온 종교용어가 많지요?

 

기독교에서 쓰는 '전도'라는 말도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루고 제자들에게 불교를 널리 알리라는 데서 유래했고요.

천당 또한, 불교에서 천상이라는 뜻으로, 깨달음에 이르지 못하고 윤회를 위해 머무는 곳을 뜻합니다.

기독교계에서도 천당이라는 말은 성경에 없다며, 바른 단어는 천국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밖에 점심, 법, 목욕, 판사, 양치, 선생, 주인공 등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많은 단어가 오랜세월 우리 민족과 함께 했던 불교에서 나왔습니다.

 

끝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불교계가 산문폐쇄 등으로 발 빠르게 대처 했지요?

 

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불교가 종교계 중에서 제일 먼저 스스로 사찰의 외부 출입을 금하는 산문폐쇄를 단행했고, 이에 대해서 정부도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이는  부처님 당시 인도 우기에 전염병 등을 막기 위해서 안팎의 이동 없이 한 곳에 머물며 수행을 한 안거와 국가와 민족을 우선 해온 호국불교 사상이 있었기에, 발빠르게 결단하고 실행을 했다고 보여집니다. 

 

네 홍진호 기자 수고했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