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16일 오후(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에서 열린 제63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 총회에서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71개 회원국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앵커 >

일본 정부 당국자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엄청난 양의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국제 공조에 나선 상황입니다. 경제산업부 권송희 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먼저, 국제원자력기구 IAEA 총회가 어제부터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한국 대표단이 참석해서 기조연설을 했는데,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설명해 주시죠.

 

< 기자 >

네. 어젯밤 자정쯤, 대략 7분 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미옥 1차관이 기조연설을 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가장 인접해 있는 나라인데요. 일본 오염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어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정부가 판단했기 때문인데요. 문미옥 차관의 말을 들어보시죠.

<인서트1 -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Management of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is no longer Japan's domestic problem but a grave international issue that can affect the whole global marine environment.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는) 전 지구적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국제이슈로 일본 국내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만약, 오염수를 바다에 버린다면 더는 한국과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대한 국제적인 문제, 이슈라는 것이죠.

이 때문에 문 차관은 IAEA와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관심을 촉구했고요. 이어, 국제사회가 안전하다고 확실할 만한 원전 오염수 처리 기준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의 실질적이고 투명한 조치와 행동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앵커 >

이런 가운데, 일본은 인체에 해가 없다.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나라가 국제무대에서 오염수 문제를 공식적으로는 처음으로 공론화했는데, 일본에 압박이 될 수 있을까요?

 

< 기자 >

이런 상황을 봤을 때, 일본 정부가 아무리 힘을 가진 나라라고 하더라도 국제 공조를 더는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일본 역시, IAEA 총회에 참석했고 우리 대표단보다 먼저 기조연설을 했는데요. 이 자리에서도 오염수에 대한 비판과 후쿠시마산 식품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며, 우리나라를 에둘러 비판했습니다.

특히, 일본 하라다 환경상이 지난 10일에 “눈 딱 감고 (바다에) 방류해 희석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거든요.

그동안 일본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라고 해명 해왔는데, 이로 인해 내부적으론 해양 방출 방안을 비중 있게 다뤄온 사실이 확인된 셈입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유출 의혹은 진작부터 제기돼왔었는데요.

이번에 한일 분쟁이 불거지면서 바로 불매 운동, 도쿄올림픽이 등장했잖아요. 일본이 원전과 가까운 곳을 성화 봉송 출발점으로 지정하고, 선수촌 식탁에 후쿠시마산 음식 재료를 올리려 한다는 문제가 자연스럽게 다뤄지면서 관심이 더 커진 게 사실입니다.

 

< 앵커 >

일본이 도쿄올림픽을 통해서 후쿠시마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걷어내려는 것으로 해석이 되는데요. 그런데 오염수 처리를 두고 여러 대안 중 해양 방류가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 기자 >

아시겠지만,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한 지 8년이 지났잖아요. 그동안 일본이 쌓아놓은 방사능 오염수가 무려 110만 톤이 넘고, 이마저도 2022년이면 저장 탱크가 한계에 도달한다는 게 도쿄전력의 입장입니다.

그래서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5가지 대책을 제안했는데요. 땅에 묵거나, 증기로 공기 중에 내보내거나요. 그중 하나가 해양 방류인 거죠.

가장 적은 비용으로 가장 빨리 처리할 수 있어서 위원회가 일본 정부에 강조했다는 게,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설명입니다.

지하수 유입 등으로계속해서 늘고 있는 오염수를 저장하려면 탱크와 부지, 인력, 기술 등 이게 다 비용인데, 오염수가 향후 100년은 더 발생한다고 보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일본의 경우 정화시설에서 오염수를 정화했다며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는데요. 정화를 거친 물에도 1급 발암물질인 트라이튬과 세슘, 삼중수소 등이 안전치 이상 녹아있다는 겁니다.

 

< 앵커 >

그래서 일본이 이런 방사성 핵종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선진화된 기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문제를 이유로 도입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거군요. 실제 방사능 오염수가 방출되면, 어떤 피해가 발생합니까?

 

< 기자 >

예로,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기억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가 일어난 게 1886년이니까, 벌써 34년이 지났습니다.

사고 이후 강제 이주와 사망, 암, 기형아 출산 후유증 등으로 약 150만 명 이상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고요. 유령도시로도 불리는데, 현재도 30Km 반경 내 지역에는 거주가 금지됐습니다.

일본 오염수가 방류되면 무엇보다, 태평양 오염은 불가피한 상황이고요. 오염수를 아무리 물로 희석하고 방사능 핵종 제거기술로 걸러낸다고 하더라도, 농도가 얕아질 뿐 해류를 타고 모두 오염시키면서 축적됩니다. 우리 동해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고요. 그렇게 되면 우리 식탁도 안전하지 못하겠죠.

국제환경단체죠. 장마리 그린피스 캠페이너의 설명입니다.

<인서트2 - 장마리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앞으로 계속해서 발생해나갈 오염수가 지속적으로 태평양이 방류된다는 부분까지 고려했을 때, 자연생태계 그리고 인간 사회에까지 여러 국가에 미칠 수 있는 피해 영향이라는 것은 실체 예측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가 다른 방안을 강구하면서 해양 방류를 고려하고 있는 옵션 자체를 철회한다는 책임 있는 답변이 필요한 것이고요. 정부의 역할과 함께 시민들의 관심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장마리 캠페이너 말 이어서 들어보시죠.

<인서트3 - 장마리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우리나라 정부가 앞으로 국제 사회에서 이런 문제들을 공론화 잘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속적으로 일본 정부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지를 지켜보는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도 앞으로 더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앵커]
지금까지 경제산업부 권송희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