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대한불교진흥원이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더욱 불안하고 초조해진 현대인들의 본래 마음자리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강사로 나선 이화여대 철학과 한자경 교수는 감각기관으로 대상만을 쫓지 말고, 고요하지만 깨어있는 본래 마음 즉 '공적영지'에 대한 자각을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홍진호 기자입니다.

 

대한불교진흥원 화요 열린강좌에서 한자경 교수는 우리들은 자신의 마음 조차 모른체 살아가고 있지 않냐는 '물음'으로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이어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이 떠오르는 다양한 감정과 생각들 너머에, 우리들의 ‘마음’을 이미 알고 있는 ‘본래 마음’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자경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마음이 곧 뇌다. 뇌를 아는 뇌 과학자가 마음을 더 잘 알고 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겠죠. 그런데 제가 말씀드리려고 하는 것은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고 했을 때 그 마음을 아는 자는 남과 아니고 나도 아니고 정신분석자도 아니고 뇌 과학자고 아니고 바로 마음이 안다는 거죠.”

그 '마음'을 한 교수는 '공적영지'라고 설명했습니다.

허공의 ‘공’과 적막의 ‘적’을 합친 ‘공적’에, 신령하게 스스로 아는 ‘영지’를 합친 게 '공적영지'입니다.

어둡고 조용한 밤,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아도, 즉 대상이 없어도 보고 듣는 마음활동은 존재한다는 겁니다.

[한자경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

“감각작용과 제6의식을 포함해서 6식의 활동이 대상의식이라면 대상의식보다 더 멀리 대상이 있는데 까지만이 아니라 대상이 없어도 마음으로 활동할 때는 대상, 전체 영역보다 더 멀리 더 깊이 나아가는 마음의 활동이 있다고 볼 수 있다는 거죠.”

보조국사 지눌의 ‘수심결’을 인용해서 텅 비어 있어 고요한데 스스로를 아는 그 마음이 곧 부처와 역대조사가 전하고자 한 가르침인 ‘공적영지’라고 강조했습니다. 

수행자가 대상을 없애 고요하더라도 ‘혼침’에 빠지지 않고 항상 깨어있을 수 있는 것은 누구나가 이러한 본래면목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한자경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

“적적성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그런 수행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뭐냐 우리에게 본래 ‘공적영지’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거죠. 공적의 상태에서도 항상 깨어서 스스로를 신령하게 아는 그 마음이 활동이 있는데 그것은 공적영지라고 이야기 하는 거죠.”

[스탠딩] 미래에 대한 불안이 더욱 커지는 코로나19 시대에, 감각기관으로 대상만을 쫓지 않고 고요하게 깨어있는 본래마음에 대한 자각은 더욱 필요해 보입니다. 

서울 마포 다보원에서 BBS NEWS 홍진호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