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우리 민족문화유산의 보고인 전통사찰은 문화재 보존 등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곳인데도 일반용과 같은 높은 요율의 전기세를 내는 사찰들이 적지 않은데요.

BBS 뉴스는 불교계의 오랜 과제이지만 쉽사리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전통사찰 전기요금 체계 개선에 관한 연속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첫 순서로 전통사찰의 전기요금 현황과 문제점을 정영석 기자가 짚어봅니다.

 

BBS가 입수한 서울의 A 전통사찰의 1년치 전기요금 내역서입니다.

지난해 이 사찰에 부과된 총액은 천469만여 원, 매달 평균 120만 원이 넘는 전기료가 빠져나가고 있는 셈입니다.

이는 사찰 관리비 가운데 전체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코로나19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사찰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묘장스님/서울 학도암 주지: 보안 때문에 사실 절에서는 보안등을 일부러 밤새 켜두는 편입니다. 또 (문화재 보호를 위한) CCTV 등 이런 기계들도 24시간 동안 작동되거든요. 관리비 비율로 따지면 가장 많이 들죠. 60% 이상...]

상대적으로 전각 등이 많거나 규모가 큰 전통사찰의 전기세는 이보다 10배 정도 많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실제로 서울 조계사가 지난해에만 납부한 전기요금은 2억 원가량이나 됩니다.

대웅전 등의 건축양식에 따른 특성 때문인데, 여름철 냉방비와 겨울철 난방비에 많은 요금이 부과됐습니다.

전국 교구본사 소속 전통사찰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유응오/김천 직지사 종무실장: (전통사찰은) 문화재 지킴이고, 산림 지킴이니까 단순한 우리만의 소유권이 아니라 민족문화유산을 지킨다는 이런 공익적인 차원에서 솔선수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정부의 보조를 받는 것이 맞지 않나 싶은데요.]

실제로 조계종이 전통사찰 277곳을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벌인 결과, 한해 평균 전기세는 사찰당 2천 3백만 원, 본사는 1억 6천만 원의 요금을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의 전통사찰들이 전기료가 가장 높은 일반용이나 주택용 요율을 적용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덕문스님/화엄사 주지: 일반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누진 적용률이 너무 큽니다. 그래서 사찰 재정에 굉장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그런 부분에 대해 국가에서 지속적인 시정 조치를 최소한 교육용이라든가 농업·산업용 수준으로...]

정부가 마련한 '전통사찰의 보존과 지원에 관한 법률'은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가치를 가진 사찰을 전통사찰로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세 감면 혜택을 받는 유치원이나 복지시설, 박물관 등과는 달리 문화재 보존 등의 공익적 역할을 수행하는 전통사찰의 기능은 외면 받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오심스님/조계종 문화부장: 정부에서 하는 시책들이 전통문화를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모습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래서 관계 부처에서 인식을 하셔서 전통사찰이나 문화재 관람료 사찰에 대해서는 지원이 필요하고, 이런 대책을 함께 강구하는 그런 시스템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역사적 가치가 높은 전통 문화유산을 보유한 전통사찰은 특히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수행과 생태, 힐링과 치유의 공간으로 활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시대를 겨냥한 국가적 핵심 자원으로 떠오른 전통사찰의 보존과 활용 가치를 고려한 별도의 전기요금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BBS NEWS 정영석입니다.

(영상취재/허영국)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