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코로나19사태가 길어지면서 40년 만에 처음으로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연등회’가 전격 취소됐는데요.

신라시대에 처음 시작된 연등회는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전국적인 행사로 자리잡은데 이어 지금은 세계적인 문화 축제로 발돋움하는 등 진화를 거듭해 왔습니다.

우리 민족의 축제, 연등회의 역사와 전통, 문화적 가치에 대해 홍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브라질에 ‘리우 카니발’이, 스페인에 ‘토마토 페스티벌’이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연등회’가 있다고 할 정도로 부처님오신날 ‘연등회’는 이제 세계인이 즐기는 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케빈 헌트베스 가족/영국 런던 (지난해 연등회 참가자): 연등 행렬은 아주 아름다웠고 연등회와 같은 전통 축제로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기분이 정말 좋았어요! 연등이 지나갈 때 아주 예뻤거든요.]

삼국사기에는 866년 정월대보름에 경문왕이 황룡사에 행차해 연등을 구경하고 고위 관리인 백관들에게 잔치를 열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신라 때 중국에서 수용된 연등회는 이 당시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널리 성행했는데, 고려시대에는 평양과 개경은 물론 전국의 주요 지역에서 일제히 열린 것으로 기록돼있습니다.

고려 태조가 후손들에게 전한 유훈, 훈요십조를 통해 장려한 연등회와 팔관회는 이후 먼 외국에서도 공연 단체들이 참가했을 정도로 이때 부터 국제적 성격의 축제로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자현스님/ 중앙승가대 교수: 불교만 들어온 게 아니고 인도에서부터 중국까지 걸친 다양한 문화들이 불교를 타고 들어오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고요. 그러한 역할들을 고려시대 때 까지 지속적으로 해 왔던 것이 스님들입니다.]

불교가 억압을 받던 숭유억불의 조선시대에도 부처님오신날 등을 다는 연등 풍습은 곳곳에서 행해졌습니다.

조성왕조실록에 의하면 세종은 연등과 관등놀이를 행한지 이미 오래 돼 갑자기 금할 수 없다고 했고, 종교를 넘어 임진왜란 당시에도 지속된 민족의 문화로 여겨졌습니다. 

[원철스님/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장: (난중일기에 나와 있는) 등을 어디다 달았을까, 어디에 가서 관등을 하셨을까가 안 나와 있어요. 전쟁을 하기 위해서는 군진을 비우지는 않았을 거고 아마 군진 안에...]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연등행렬은 다시금 선보이게 되었고, 1975년 부처님오신날 국가공휴일 제정 이후 이듬해부터 도심에서 대규모 연등행렬이 펼쳐졌습니다.

[스탠딩] 올해 연등회는 비록 취소됐지만, 역사를 가로지르며 세상을 밝혀온 천년의 등불은 국민들의 마음 속에 더욱 환한 빛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한국불교 1번지 조계사에서 BBS NEWS 홍진호입니다.

(영상취재=장준호)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