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올해로 40주년을 맞았습니다.

BBS뉴스에서는 5.18 40주년을 맞아 5.18과 불교의 관계를 조명해보는 기획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5.18 당시 광주지역 불교계는 어떤 역할을 했는지 광주BBS 김종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광주광역시 도심에 자리한 송광사 포교당 원각사.
 
이곳에서는 매년 5월 18일에 즈음해 지역 불교단체 주관으로 5.18 영령의 넋을 기리는 추모법회가 봉행되고 있습니다.

원각사는 80년 5월 당시 관음사, 증심사와 더불어 불교계 민주화운동을 이끌었습니다.

당시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 준비를 위해 관음사에 머물던 백양사 무공스님도 5.18의 참상을 직접 경험했습니다.

[무공 스님 / 조계종 18교구본사 백양사 주지]
"사람이 많이 죽었다고 해서 도청 앞으로 가보니까 상무관의 문이 열려 있더라고요. 그때는 입관도 안했을 때니까 시신들이 널려져 있는데...어머니들이 와서 통곡하고 있고...얼굴을 못 알아보도록 하얀 페인트로 칠해버렸어요 . 그래서 그 모습 보면서 마음이 안 좋아서..."

고 김동수 열사


부처님오신날을 앞두고 시민들의 무고한 희생을 목격한 몇몇 스님과 불자들은 스스로 항쟁의 한복판에 뛰어들었습니다.

5.18 당시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전남지부장이었던 고 김동수 열사도 그 중 한명이었습니다.

전남도청 항쟁본부 시민수습대책위원으로 활동하던 김동수 열사는 최후까지 항전하다 계엄군에 총탄에 맞아 숨을 거뒀습니다.

 열사의 모교인 조선대학교에서는 대불련 동문들이 매년 열사의 기일에 맞춰 추모제를 열고 있습니다.

[김동채 / 고 김동수열사 동생]
"개인적으로는 40년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꿈에서도 한번도 (형님을) 못 뵙어요.  아직까지도 도청에 있는 것 같고...5.18은 지금도 진행형인데...한을 못 풀어서"

이중표 전남대 명예교수는 불교의 육바라밀과 동체대비, 평등사상이 5.18정신과 맥이 닿아있다고 말합니다.

중생의 고통에 함께 아파하고 초파일 공양물을 아낌없이 나눴던 자비의 실천은 40년 전 광주시민들이 꿈꿨던 대동세상, 정토세상의 발현이었습니다,

 [이중표 / 전남대 명예교수] 
"(5.18민주화운동 당시) 외재적인 억압이 없이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평화로운 대동사회를 만들 수 있지 않았는가 (생각합니다). 그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불국토 정신이고 자타불이, 평등 이러한 불교의 가장 핵심 사상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그렇지만 5.18항쟁 당시 스님이나 재가 불자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알수 있는 기록은 거의 전무한 상황.

5.18 40주년을 계기로 우리 사회의 굴곡진 역사속에서 불교가 어떤 역할을 해왔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올곧게 실천해 왔는 지 돌아봐야 할 때입니다.

광주BBS 김종범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