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15년 동안 생명유지장치에 의존에 연명해오던
식물인간 테리 시아보가
영양공급 튜브를 제거한 지 13일만에 사망하자
또다시 안락사 찬반 논쟁이 뜨겁습니다.

안락사 논쟁의 핵심은 무엇이고
불교적 관점에서 안락사는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이용환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출연 원고>

<질문1-시아보 사망>
그동안 미국내에서 안락사 논쟁을 불러 왔던
시아보 여성이 현지시간으로 어제 끝내 사망했죠?

<답변>
그렇습니다.
뇌 손상으로 인해 15년동안 식물인간 상태로
영양공급 튜브에 생명을 이어오던 41살의 시아보 여성이
현지시간으로 어제 오전 끝내 눈을 감았습니다.

미국내 보수단체와 종교단체 심지어 부시 대통령까지 나서서
시아보 여성의 안락사를 반대했지만
미 연방대법원은 튜브를 제거하라는 결정을 내렸고
결국 시아보 여성은 더 이상 생명을 유지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사망 소식을 접한 그녀의 생명 연장 지지자들은
요양원 정문에 모여 안락사 반대를 주장했고
부시 대통령도 기자회견을 열어서
시아보의 사망에 대해 애도를 표했습니다.

<질문2-안락사 논쟁>
안락사와 관련한 찬반 논쟁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닌데
안락사 논쟁의 핵심은 어디에 있는 겁니까?

<답변>
우선 안락사를 정의하자면
고통이 극심하고 치유가 불가능한 경우에
인위적으로 이루어지는
평온하고 안락한 죽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안락사는 누군가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 죽음이라는 점에서
자살과 구별되고
죽어가는 사람의 이익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살인과도
구분됩니다.

이같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죽고자 하는 사람의 이익을 생각했다고 할지라도
인위적인 죽음 또는 죽게 내버려둔다는 점에서
생명윤리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 생명은 그 자체로 존엄한 것이기 때문에 존중되어야
한다는 절대 생명 존중 사상과 늘 충돌하는 것입니다.

<질문3-불교에서의 안락사>
각 종교계에서도 안락사와 관련한 입장들을 갖고 있는데
우선 기독교와 천주교는 안락사를 반대하고 있죠?
그렇다면 불교에서는 안락사를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답변>
기독교와 천주교는 안락사와 관련해
명확한 반대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불교계에서는
스님들과 불교관련 학자들의 견해가 다양한 상황인데요,

먼저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의 법칙에 따라서
소극적 안락사는 허용하되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시키는 적극적 안락사는
금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한국교원대 윤리교육과 박병기 교수의 말입니다.

<인서트1>


불교에서는 생과 사를 초월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만큼
안락사 논쟁은 성립되지 않는 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불교에서 말하는 중도 정신에 따라
양쪽의 의견들을 포용하면서 화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불교의 역할이라는 것입니다.

대전 자광사 주지 청아 스님의 말입니다.

<인서트2>

이밖에도
옳다 그르다는 이분법적 판단에서 벗어나서
안락사 문제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바라보고
불교만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질문4-종단의 생명윤리 정립사업>
조계종에서는 안락사를 비롯해서 낙태와 사형 문제 등
생명윤리와 관련한 입장을 정리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죠?

<답변>
조계종은 불교생명윤리 정립을 위한 연구위원회를 만들고
지난해부터 생명윤리와 관련한 불교계의 입장을
정리 중인데요,

얼마 전 안락사와 생명조작, 낙태, 사형 분야 등
분야별 연구위원을 위촉하고 본격적인 연구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연구위원회는 앞으로 몇 차례 세미나 등을 열고
올해 안에 안락사와 사형 문제 등과 관련해서
불교가 보는 기준과 입장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조계종 총무원 박정규 사회주임의 말입니다.

<인서트3>

<답변>
한림대 이인영 교수가
고통이 극심한 불치병 환자가 죽을 권리를 요구할 때
의료진이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지 물어본 결과
1020명의 사람 가운데 69.3%가 치료를 중단해야 한다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가 오늘 발표됐습니다.

의사가 환자의 의견을 받아 들여서
약물이나 의료기구로 죽게 하는 적극적 안락사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람들이 찬성했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민감하게 다루어지던 안락사 문제는
이제 사회적으로 공공연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안락사 문제를 허용해야 한다 아니면
금지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서
모두의 고민을 통해 사회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고,
정부도 국민들의 정서를 반영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겁니다.

<지금까지 이용환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