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고려와 조선시대 우리 강산을 담은 실경산수화 360점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특별전으로 선보이고 있는데요.

산수뿐 아니라 풍류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 등이 세세하게 묘사된 실경산수화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 불교와 스님들의 당시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최선호 기자가 전시장을 찾았습니다.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붓과 먹으로 그린 산수화.

마치 카메라로 사진을 찍은 듯합니다. 

작가들이 직접 보고 느낀 해석까지 화폭에 담은 '실경산수화‘의 감흥은 더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특별전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부터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화가들의 그림까지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360여 점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당시의 시선으로 본 불교의 모습이 흥미롭게 등장합니다.

화가 정수영은 “보이는 것은 겨우 산허리와 산등성이 아래뿐”이었다며 남한강 줄기 배 위에서 여주 신륵사를 담아냈고, 정선이 부채에 옮긴 단풍 속 해인사는 소실되기 전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있습니다. 
 
조선후기 문인으로 잘 알려진 강세황은 스님들로부터 전해들은 아름다운 산사의 풍경을 산수화로 그렸습니다. 

[오다연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조선시대로 가면 ‘숭유억불’ 책으로 불교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배척된다고 생각하는데 조선 중기ㆍ후기를 거쳐서 스님들은 계속해서 문인들과 가까이 교류를 했습니다. 

금강산을 그린 실경산수화 속에서는 더 다양한 불교의 모습이 발견됩니다.

김윤겸과 김응환이 그린 금강산 ‘묘길상’은 작가의 시선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어 색다르고...

작품에 자기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허필의 묘길상 부처님은 아예 서 있기까지 합니다. 

[오다연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화가들의 경우에는 명승들을 그림으로 그리면서 보다 자세히, 아니면 자기만의 해석을 넣어서 그림으로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선의 <신묘년풍악도첩>에 등장하는 스님들은 금강산의 험한 산세를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정조의 명을 받아 금강산을 그린 김응환의 <해악전도첩>은 개인 소장자의 협조를 받아 처음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스탠딩>
조선 산수화 속에서 당시 사회상과 불교와의 관계를 들여다보는 것이 이번 전시회의 또 다른 즐거움입니다.

전시회는 다음달 22일 까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이어집니다.

BBS 뉴스 최선호입니다.
(영상취재 = 강인호)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