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다음은 BBS NEWS에서 준비한 기획보도 순섭니다.

'식용개 논란'은 국내 동물권 운동의 시초이자,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갈등입니다.

불교계는, 우리 전통의 식습관이라는 이면은 인정하면서도, 동물의 생명권 차원에서 상설기구를 만들어 보다 근본적이고 새롭게 접근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 기자 >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별안간 '개고기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개 식용' 문화를 향한 외국 유명인사의 지적에, 정부는 부랴부랴 보신탕집 단속에 나섰고, 논란은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계속됐습니다.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 동물보호운동은 유기동물과 동물학대, 동물실험까지 점차 저변을 넓혀 왔습니다. 

하지만 동물을 길들이고, 재산권을 행사해온 오랜 관행이자 습관이었고, 이것을 바꾸는 일에는 항상 갈등이 존재했습니다. 

정부나 국회 차원의 관련 법 논의가 더딘 것도, 바로 이 동물의 생명권, '동물권'을 둘러싼 찬반 입장이 첨예하기 때문입니다. 

[인서트1 / 신동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동물의 복지 문제를 같이 고민해야하는 문제기도 합니다만, 또 한편으로 봤을 때는 경제논리 자체를 무시할 수 없는게 현실적이란 말이에요. 양자가 항상 부딪히는 문제인데, 이제 사회적 시기의 변화, 또 제도적인 개선을 통해 점차적으로 해소돼 나가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불교계도, 지난 해 공장식 축산과 대량 살처분 관련 해결책 모색에 나서는 등 생명존중 사상에 입각한 동물권 저변 확대에 적극 동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부분 개별 사안에 기인한 점 조직 형태로, 범불교 차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동물의 생명권을 연구하는, 본격 상설기구가 필요한 것도 이때문입니다.

[인서트2 도법 스님 / 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 전 위원장]
"생명을 어떻게 파악하고 어떻게 다뤄야할 것인지 하는 문제는, 어쩌면 불교계가 정말로 공들여 해야 하는 일이에요. 그걸 전담하는 기구를 만든다던가 하는게 이뤄져야죠."

[스탠딩]

불교계는 개 고기를 먹는 것이 우리 전통의 식습관이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는, 어느 덧 가족같은 반려동물의 범주에 들어와 있고, 우리 사회 전반에 동물권 보호 인식은 확산돼 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적 흐름을 반영해, 동물을 비롯한 만물의 생명권 차원에서 이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해 가려는 불교계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BBS 뉴스 김연교입니다.

영상취재/편집 = 최동경 기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