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념일 제정 후 첫 공식 기념식 …8월 8일부터 3일간 목포 삼학도 일대

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전국네트워크, 오늘은 광주로 갑니다. 광주 BBS 정종신 기자. 오늘은 어떤 소식인가요?

네, 오늘은 제1회 '섬의 날'을 맞아 다음달 8일 열리는 기념행사 소식입니다.

우선 '섬의 날'이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게 들리실 분들이 많을텐데요. 섬의 날은 전라남도가 행정안전부에 제안해서 제정된 국가 기념일입니다.

8월 8일이 섬의 날로 제정된 것은 8이라는 숫자가 두 개 겹쳐 기억하기 쉽다는 점과, 또 8월이면 여름인데, 여름에는 먹거리와 볼거리가 풍부하고 거기에 휴가철까지 겹쳐 섬 관광 활성화에 적합하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섬의 날' 제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죠?

섬의 날 제정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된건 2016년 8월입니다.

대한민국 영토지만 관심을 받지 못했던 섬에 정부 차원의 관심을 가져달라는 요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정치권과 지역 사회의 노력으로 지난해 '섬의 날'이 제정되는 결실을 맺게 됐습니다.

물론 섬의 날 기념식이 매년 전남에서만 열리는 것은 아닙니다.  섬의 날 기념식 장소는 정부가 매년 공모를 통해 선정하기 때문에 지역을 바꿔가면서 열리게 됩니다.

다만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첫해 기념식이 전남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섬의 날은 전라남도의 노력과 제안으로 제정됐지만 전라남도만의 행사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행사를 공동 주최한 전라남도와 목포시, 신안군의 각오도 남다릅니다.

배석인 목포시 기획문화국장은 대규모 국가 단위 기념식을 앞두고 행사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는데요, 배석인 국장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INT▶ 배석인 / 목포시 기획문화국장

"우리시에서는 대형 텐트설치, 관람객 안전 대책, 또 교통, 청소, 의료보건 등 행사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섬주민들의 페스티벌이 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올해 첫 회를 맞는 섬의 날 기념식, 어떤 내용으로 꾸며지는지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섬의 날 기념식은 다음달 8일부터 3일 동안 목포 삼학도 일대에서 펼쳐집니다.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이번 기념식은 '만남이 있는 섬, 미래를 여는 섬'이라는 주제로 섬의 중요성과 가치를 조명하는 행사들로 꾸며집니다.

전라남도는 섬의 날 기념식을 섬 주민은 물론 전국의 국민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한여름 밤의 축제로 치룬다는 계획입니다.  전라남도 섬해양정책과 박영채 섬정책팀장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INT▶ 박영채 / 전라남도 섬해양정책과 섬정책팀장

"섬의날 기념행사는 크게 구분하면 국가기념식, 전시행사, 부대행사 등으로 진행됩니다. 기존에 단순 기념 위주의 진행되는 국가 기념일과는 달리 섬 주민과 일반국민 모두가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썸 페스티벌 형식으로 진행될 계획입니다"

전라남도는 그동안 섬 지역 발전을 위해 많은 공을 들여왔지요? 이번 섬의 날 제정도 이런 노력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데요?

생태와 문화, 역사자원이 풍부한 섬은 국민의 다채로운 삶의 터전이자 미래의 잠재적 성장 동력입니다.

국토해양부가 2010년 1월 공식집계 한 우리나라 섬의 총수는 3천358개입니다. 이 중 전남은 60.64%에 해당하는 천744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섬의 날을 국가 기념일로 제정하기 위해 그동안 전라남도가 동분서주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전라남도는 지난 2015년, 당시 이낙연 전남지사는 섬을 지역 발전 동력으로 만들기 위해 '가고 싶은 섬'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섬과 바다를 개발하는 것이 ‘국토균형발전’의 첫걸음이라고 판단한 겁니다. 그런 노력과 성과가 국가기념일인 섬의날 제정에까지 이르게 된 겁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섬 지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또 다른 '도서개발촉진법’ 개정안은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 조차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섬 정책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야 합니다.

전라남도는 개정안이 사장되지 않은 만큼 이 개정안을 지속해서 정치권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