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2題 = 주52시간제가 도입되는 현행 버스와 자율버스

 

 ‘버스업계의 주52시간 근무제’가 다음달 1일부터 도입되는 가운데 지난달(4월) 파업대란 우려가 또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버스업무를 맡고 있는 광역단체를 비롯해 국토부도 연일 비상대책에 나섰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박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버스업계의 주52시간 근무제’가 다음달(7월) 1일부터 '300인 이상 업체'부터 먼저 도입됩니다.

이어, 내년 1월엔 50인에서 299인으로 확대되고, 7월엔 5인에서 49인 등 버스업계 전체에 적용됩니다.

지역별 상황을 보면, 서울은 전체 시내버스의 절반(65개사)이 해당하지만, 기사충원은 비교적 순조롭다고 밝혔습니다.

서울버스 한 대당 운전인원이 지난 2월 기준 2.34명으로 전국 평균(1.89) 보다 0.5명 가량 많기 때문입니다.

다만, 준공영제 도입에 따른 재정부담이 늘어, 임금인상을 포함하면 올해 3천 3백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지난 4년간 버스요금이 동결돼, 서울시의 추가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입니다.

광역자치단체별 적용상황을 보면, 대구 버스업체는 모두 300인 미만으로 내년 1월부터 적용됩니다.

하지만, 부산은 33곳 업체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적용됩니다.

또, 울산(3)과 강원(3), 그리고 광주(2), 경남(2), 충북(1) 등은 ‘300인 이상 버스업체가 3개에서 1개인데, 다음달 1일부터 ‘주52시간’이 적용됩니다.

대부분 광역단체는 기사 추가충원에 이어, 노선과 배차시간 조정 등으로 인력문제 해소에 나섰습니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교대근무(시프트제)를 도입한데 이어 대구경북은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52시간 도입으로 임금이 올라, 광역단체별로 지방재정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당정협의에서 버스요금을 200원에서 400원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경기 등 지역에 따라 버스업계의 임금과 단체협상이 예정돼 있어, 사태 추이가 주목됩니다.

다만, 지난달(4/15) 전국버스 파업 미발사태와 같이, 임금인상과는 별개로 ‘주52시간 도입’이 버스업계 노사갈등으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BBS 뉴스 박관우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