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범 남구청장 "위험한 실험, 시민들 모르게 하면 용납 못해"

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다음은 전국네트워크 시간입니다. 부산.경남 지역 연결하겠습니다. 부산 BBS 박찬민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나와 계시죠?(네!! 부산입니다)

 

 

오늘은 어떤 소식 전해주실 겁니까?

 

 

네, 지난 2015년 경기도 오산 미 공군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 배달 사고 기억하시죠?

이후에 미군이 부산 남구 8부두에서 생화학전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한 연구과제 ‘주피터 프로젝트’ 를 준비해 왔는데, 최근 세균 무기 실험과 관련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어서 이 논란에 대해 지역 사회 분위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부산항 미8부두에 현재 미군의 주피터 프로그램이 운영되고는 있죠?

 

 

지난 2016년부터 도입 준비를 했으니까요,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부산 남구 지역민들과 시민단체에서 꾸준히 미군의 세균 실험과 관련해 문제제기를 하니까 국방부가 공식적으로 답변을 내놓으면서 확실해 졌죠. 

국방부는 부산항 8부두에 도입한 장비가 시범 운용 중에 있지만, 세균무기 실험과는 무관하며 생물학 위협에 대비한 미군 기지 주변 공기의 다양한 물질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방부는 주피터 프로그램은 탐지와 분석시설로 생물학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비상연락체계나 사고발생 대비계획도 필요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 측도 입장은 같았는데요. 

자유한국당 오은택 부산시의원의 말을 들어보시죠

부산시의회 오은택 의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인서트/오은택 부산시의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당시에 미국하고 국방부는 어떤 생화학 실험도 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생화학 물질을 탐지하고 경보하는 시설 위주이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지역에서 걱정하는 미군 세균무기 실험은 없다는 것이죠.

 

 

일단락된 것으로 보이는데, 왜 다시 살아있는 세균 실험 논란이 불거진거죠?

 

 

일간지 보도로 논란이 재점화가 됐습니다. 

미 국방부 주피터 프로젝트 관련 예산을 확인했는데 예산이 늘어났고, 환경탐지평가장비를 이용한 살아있는 매개체 실험을 한다고 명시된 게 알려지면서 미군에 대한 불신이 폭발한 겁니다. 

부산시가 국방부로부터 이에 대한 공식 답변을 요구했는데, 지난해 답변과 똑같아서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 

오은택 부산시의원의 말을 다시 한 번 들어보시죠.

[인서트/오은택 부산시의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주한미군하고 한국정부에 조기경보하기 위해 방어용 체계이며, 살아있는 매개체 테스트는 미국에서만 할 뿐이지 한국에서는 시행하지 않는 등의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답변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다보니 부산시민들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죠. 

지난해 분명히 어떤 생화학실험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결국 주피터 예산을 확인하면서 살아있는 세균 실험이 실제 진행될 수 있다는 강한 의심을 보낼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지난 2015년 오송 미군기지 탄저균 배달사고 때도 부인한 전례가 있어서 신뢰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지역에서는 자체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위기겠어요?

 

 

부산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살아있는 균은 공기를 통해 전파가 되기 때문에 어디까지 파급이 될 지도 모를 일입니다. 

지역에서는 부산시가 우선 미군이나 국방부와 소통채널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 8부두 주변에 탄저균 자체 환경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고요. 해당 기초자치단체인 남구청의 노력도 당부를 하고 있습니다. 

구의원 시절부터 이 부분에 대한 적극 대응을 요구하고 있는 박재범 부산 남구청장의 말도 들어보시죠.

박재범 부산 남구청장(사진 오른쪽)

[인서트/박재범 부산 남구청장]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중인데요. 법 개정부터 군사보안문제까지 절실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부산시나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우리 주민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문을 두드려야죠.)

8부두를 자체를 넘겨받는 방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면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분위기인 것 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