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사찰 탱화와 같은 '동산문화재'의 보존처리 전문가 양성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문화재 보존처리 자격을 갖춘 등록업체를 관리하는 당국의 행정 체계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류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동산문화재는 1700여 점입니다.

전국 주요 사찰이 소장한 불화가 대표적입니다.

영주 부석사 조사당 탱화, 안동 봉정사 대웅전 후불탱화 등.

이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인 17세기 이후 조성됐습니다.

원형 보존이 관건인 이들 불화에서 수리와 보강은 한층 중요한 과제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사찰 탱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존 노력이 시작된 것은 사실상 80년대 초반부터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제작 당시 사용된 재료의 한계성과 건축물에 붙어있는 조건 때문에 보수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약품과 기술력으로는 이물질 제거와 손상 등에 대한 완벽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재청이 마련한 학술대회에서 현실적 대안이 제시됐습니다.

재료적 특성과 전통기술을 연구하고 손상 원인을 찾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관건이란 것입니다.

[인서트 한경순 / 건국대학교 교수] : "불화 해체를 아주 쉽게 결정하는 부분들. 그런데 이게 해체가 되면 조립이 사실 제대로 안되거든요...과연 불화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기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얼마만큼의 기술을 습득해야 과연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가..."

문화재 보존처리 전문가 양성과 보존처리 자격 등록업체 관리가 선결 과제란 지적도 나왔습니다.

직물이 주재료인 서화문화재의 경우, 기능공 시험에서 단 몇 시간 만에 결과물을 제출해야 하는 이른바 전근대적 시스템이 수십 년째 유지돼오고 있습니다.

그 어떤 현장 보다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이뤄져야 할 문화재 보존·관리가 정작 시험장에서는 얼마나 빨리 작업을 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입니다.

[인서트 박지선 / 용인대학교 교수] : "문화재 보존처리는 참 좋은 재료로 천천히 정성을 기울여서 해야 된다고 배운 친구들이 시험장에 가서 아침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선풍기로 말려가면서 싸구려 종이로 족자 만들고 병풍 만들고... 문화재 보존을 할 수 있는 시험이 아니고 이것은 도배하고, 창문 바르는 표구사를 양성하는 시험이지..."

문화재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해도 자격 형식을 갖춘 뒤, 입찰가격만 맞춘 업체들이 국보급 문화재 수리의 전면에 나서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보존처리 전문성과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 속에 정부의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인서트 정광용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 "'문화재 수리'의 개념에서는 동산문화재와 부동산 문화재를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전문 문화재수리업으로서의 한계점, 하도급 제한 규정으로 인한 법률 위반 우려, 전문 인력 비활성화로 인한 보존처리 전문성 및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보존처리 문화재 수리업체는 늘어나지만 정작 전문 인력은 부족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문화재 당국의 법률 개정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BBS 뉴스 류기완입니다.

영상취재: 남창오 기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