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부마민주항쟁 당시 모습

[앵커] 전국네트워크 이어가 보겠습니다. 부산으로 가봅니다.

부산BBS 황민호 기자 나와 있죠?

[기자] 네. 부산입니다.

[앵커] 오늘은 어떤 소식 준비했습니까?

[기자] 네,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한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과 관련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근대 민주화 운동이 마산 3·15의거와 4·19혁명, 그리고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화항쟁 그리고 부마민주항쟁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부마민주항쟁만 국가기념일로 지정이 안 된 상태입니다. 특히, 올해 40주년을 앞두고 지난해부터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는데 국가기념일로 지정이 될지, 안될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앵커] 부마민주항쟁이 어떤 운동인지 다들 아시겠지만 간략하게 소개 좀 해주세요.

[기자]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에서 일어난 반정부 항쟁사건입니다. 당시 5·16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유신체제는 1979년 들어서도 각종 시국사건에 대해 강압적으로 반정부 인사들에 대해 체포와 연금, 구금을 가차 없이 실시했는데요. 같은 해죠. 5월 3일 민주회복을 목표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민당 총재로 당선이 되자 박정희는 김영삼 의원직 제명 안을 변칙으로 국회에 통과시켜 유신체제의 대한 야당과 국민의 분노가 극에 달하게 됩니다.

이에, 10월 15일에는 부산대학교에서는 민주선언문이 배포가 되고, 다음날인 16일에는 5천여명의 학생들이 시위에 나서게 됩니다. 이 시위대는 시민들과 합세 하게 되고 다음날인 17일에도 유신체제타도와 정치탄압중단 등의 구호를 외치며 18일과 19일에는 마산과 창원으로 시위가 확산됐습니다.

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허진수 회장의 말입니다.

허진수 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회장

[인서트/허진수/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회장]

부마항쟁으로 인해서 유신정권이 몰락했고 그 이후에 광주항쟁 6월 항쟁을 이끌어 낸 새로운 항쟁의 분기점이 된 시민항쟁입니다.

[앵커] 그럼 다른 민주화 운동은 국가기념일로 다 지정이 됐는데 유신독재를 타도한 부마민주항쟁은 왜 안 된거죠?

[기자] 부마민주항쟁은 항쟁이 발생했던 1979년 이후 신군부가 들어서면서 잊혀져 있다가 30여년이 지난 뒤인 2013년에서야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진상규명이 시작됐습니다. 그만큼 오랜 시간 동안 묻혀있었다는 말인데요. 2014년 10월부터 국무총리실 산하에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위원회가 설치됐지만 진상규명과 관련자 명예회복은 아직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부마민주항쟁을 기념하는 행사를 그동안 부산과 마산에서 따로 거행을 했다던데 왜 그런 거죠?

[기자] 네, 시위를 시작한 날짜가 달라서 그런 겁니다. 부산에서는 부마항쟁이 시작된 16일에 거행을 했고요. 마산은 18일날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힘을 한데 모으는데 미흡했습니다. 다행히 40주년을 앞두고, 부산과 마산지역에서 항생 첫날인 16일 기념일로 정할 것을 합의하면서, 이번에 국가기념일 지정이 탄력을 봤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허진수 회장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인서트/허진수/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회장]

국가기념일이 되면 부마항쟁 기념식은 국가에서 주도해서 10월 16일 하루만 하게 될 것이고, 마산은 창원시 기념일로 18일이 되어 있는데 시 기념일을 그대로 지킬 것인지 어떻게 할 것인지는 아마 시가 부마항쟁기념사업회와 논의해서 결정 할 것 같습니다.

[앵커] 지역사회에서는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념식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주길 기대한다는 여론들이 많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올해 부마민주항쟁 40주년 기념식은 지난해에 거행된 제주4·3 70주년 기념식과 같이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자리를 빛낼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문 대통령이 참석하면 1999년 부마항쟁 20주년 기념식 때 김대중 대통령에 이어 기념식에 참석한 두 번째 현직 대통령이 됩니다.

[앵커] 올해 부마항쟁 40주년을 기념해 부마항쟁과 관련한 각 단체에서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다죠?

[기자] 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이 다음달 7일까지 부마항쟁 40주년 기념 슬로건과 상징물을 공모합니다. 슬로건과 상징물 중에 원하는 부문에 선택 지원하거나 두 부문 모두 지원 가능한데요. 부마항쟁 40주년을 적절하게 표현한 30자 내외의 슬로건과 항쟁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고 대중적인 상징물을 선정 이유와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

그리고 지난해 10월입니다.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출범했는데요. 추진위는 40주년이 되는 올해 부마항쟁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기념식을 열겠다는 목표를 잡고 부산과 창원 포함해 전국 100만인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전달할 예정입니다.

[앵커] 부마민주항쟁도 제주4·3과 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이 됐으면 하는데요. 그런데 100만인 서명운동의 본질이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어요?

[기자] 네, 부산시와 기초단체들이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100만인 서명에 공무원들을 강제적으로 동원했다는 정황이 나왔습니다. 할당량을 못 채워 가명이나 조카의 이름을 써 넣고 대리 서명까지 한다는 증언이 이어져, 부산시가 아직까지도 머릿수 행정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 19일 부산시 행정게시판에 공무원 1인당 20명씩 강제로 서명을 받아오라는 지시가 내려졌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부산의 한 구청 공무원도 시에서 서명운동 관련 협조 공문이 내려와 구청 지시로 15명에서 20명의 서명을 채우라고 했다며 가족과 지인, 친구로도 인원을 채우지 못해 서명 용지 빈칸에 가명이나 심지어 6살 조카 이름을 쓰기도 했다고 털어놨습니다.

[앵커] 이번 서명에 100만 명이 참여한다 해도 정말 100만 명이 국민의 뜻일까 하는 의문이 남을 것 같은데요. 서명을 받고 있는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은 어떤 입장이죠?

[기자] 네, 재단은 먼저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재단 측은 서명 운동이 이번달 말에 마무리돼 서둘러 진행하다 보니까 잡음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이번 서명 운동은 항쟁을 기념하고 민의를 전 국민과 정치권에 알려 기념일 지정에 경종을 울리자는 좋은 의도라고 설명했습니다.

부산시도 서명 운동을 적극 동참한다는 차원에서 구와 군에 공문을 내렸고 강제성은 없었다는 입장입니다. 적극적인 동참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지 좋은 취지인 만큼 더 노력해 100만인을 꼭 채우겠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부마항쟁 40주년을 기념해 참 말고 많고 잡음도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날의 민주주의와 평화가 자리 잡기까지 시민들이 이뤄냈던 숭고한 정신을 잊어선 안 되겠습니다.

황민호 기자 수고했습니다. 전국네트워크 오늘은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