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됐습니다.

‘제재의 완전 해제’를 요구한 북한과 ‘영변 핵시설 플러스 알파“를 요구한 미국의 입장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예정됐던 일정을 다 진행하지 못한채 회담이 마무리됐습니다.

신두식 기자와 함께 이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 앵커 >

 당초 예정대로였다면 이른바 ‘하노이 선언’의 서명식을 마치고,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있을 시간인데. 회담이 결렬되면서, 기자회견 일정도 앞당겨졌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예정대로 현지시간 오전 9시쯤. 우리시간으로는 오전 11시쯤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단독회담이 시작됐구요.

중간에 두 정상의 산책도 있었고, 확대회담으로 이어졌습니다.

순조롭게 회담이 진행됐더라면, 당초 예정은 우리시간으로 오후 4시쯤에 하노이 선언에 대한 서명식이 있을 예정이었는데요.

그런데, 우리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 55분으로 예정됐던 공동 오찬이 계속 미뤄졌습니다.

그러면서 오후 4시 5분으로 예정됐던 공동성명 서명식 일정도 순연됐구요.

그러다가 서명식이 취소됐고, 백악관은 예정보다 일찍 종료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현 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공지를 했습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오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매우 훌륭하고 건설적인 만남을 가졌다"며 이같은 입장을 전했구요.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통해 회담 결렬 소식을 직접 전했습니다.

 

 

< 앵커 >

 회담 결렬의 배경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밝혔는데. 북한의 완전 제재 해제 요구를 지금은 들어줄 수 있는 없는 상황이라는 거죠?

 

 

< 기자 >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결렬 직후 메리어트 호텔로 이동해 기자회견을 가졌는데요.

“이 시점에서 옵션이 여러개 있었지만, 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았음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북한측이 영변 핵시설 폐기의 대가로 전면적인 제재 해제를 요구했는데. 그것만으로 제재 완전 해제 요구를 들어줄 수는 없었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입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더많은 비핵화 조치를 요구하려 했는데, 김 위원장은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미국측은 영변 핵시설을 포함해, ICBM 관련 시설과 핵무기 등 모든 핵 폐기를 요구했는데.

북한은 영변 핵시설 폐기를 조건으로 미국의 제재 완화 내지 해제를 요구하면서 회담이 타결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앵커 >

 오전만해도 회담 분위기가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보였는데. 미국의 국내정치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죠?

 

 

< 기자 >

 그렇습니다.

어제 친교만찬에 앞서서도 그렇고, 오늘 오전 회담 모두발언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를 하면서, 북한의 잠재력을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오전 회담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서두르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거듭하면서 조금 미묘한 기류가 감지됐는데요.

이는 트럼프 대통령을 겨누고 있는 미국의 국내 정치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의 의회 청문회 증언 보도가 톱뉴스를 장식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북미정상회담 소식이 뒤로 밀린다는 얘기죠.

코언 변호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긍정적인 여론이 있어야 하는데, 여전히 불리한 여론이 트럼프 대통령을 어렵게 했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북핵 문제에 대한 획기적인 진전을 이번에 이루지 못할 경우 미국내 여론 지지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셈이죠.

그래서 이번에는 합의를 하지 않고, 속도조절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이번에 한단계 진전을 이룰 것으로 보였던 북미 대화가 어쩔 수 없이 속도조절을 할 수 밖에 없게 됐는데. 앞으로 어떻게 전망됩니까?

 

 

< 기자 >

 북한으로서는 영변 핵시설로 상응조치에서 많은 것을 얻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볼 수 있구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상응조치로 많은 것을 주고, 영변 핵시설 폐기 정도 수준에 합의한다면 국내 여론의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회담에 소극적으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도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서는 회담이 결렬된 후에도 여전히 호의적인 평가를 보였구요.

“이번 회담이 생산적이었다. 현 지점에서 더 나갈 수 없어 회담 종료했다. 간극을 언젠가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회담 동력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인데요.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지만, 파국으로 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의 상황을 봐야 하는데요.

남북정상회담이나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등을 통해 한국이 또다시 구원투수에 나서야할 상황이 아닌가 이런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지금까지 신두식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