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 앵커 >

이달부터 세계 최초로 5G 전파가 송출됐습니다.

기존 LTE보다 속도는 20배, 전송량은 100배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편리해지는 만큼 지난 KT화재에서도 보여줬든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경제산업부 권송희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권기자..

먼저 5G가 뭔지 설명을 해주시죠?

 

< 기자 >

5G는 5 + Generation의 약자인데요. 말 그대로 5세대 이동통신이라는 뜻입니다.

5G는 2GHZ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입니다.

5G의 가장 큰 특징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 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5G 는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4G보다 100배나 크다고 할 수 있는데요. 지연 속도는 4G LTE보다 100분의 1로 줄어들게 됩니다.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양도 10만개에서 백만개로 늘어납니다.

초저지연은 실시간으로 받아들이면 되는데 스마트폰에서 기지국과 서버를 거쳐 단말기로 되돌아오는 시간을 최소화하는게 핵심입니다.

이런 빠른 기술은 거리 등에 제한을 없애 모든 생활을 하나로 연결해주고, 자율주행차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 획기적인 산업발전을 이룰 수 있는 인프라가 됩니다.

 

 

< 앵커 >

일단 서비스는 12월부터 개시됐는데, 일반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나요? 

 

 

< 기자 >

시작은 했지만 아직 시범단계로 볼 수 밖에 없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는 없습니다.

5G 주파수는 정부로부터 자격을 갖춘 이동통신 3사가 받았는데요. 처음에 깔아놓은 망 위에다가 5G 기지국을 덧붙이는 식으로 망을 만듭니다. 그런데 아직 이 5G 통신망이 촘촘하게 구축되지 않았습니다.

이동통신 3사는 우선 이동형 공유기인 5G라우터를 활용해 서울시와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기업용 5G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5G 전용 스마트 폰이 출시되는 내년 3월쯤부터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될텐데요.

일반 소비자들은 내년 3월부터 5G 스마트폰을 통해 영화 한 편을 1초 안에 내려받을 수 있고 대용량의 가상현실, 증강현실 영상을 빠르게 다운받는 것은 물론 끊김없이 볼 수 있습니다.

 

 

< 앵커 >

전세계 최초로 5G서비스를 개시한 만큼 이동통신 3사들의 경쟁, 아주 치열하겠네요?

 

< 기자 >

5G 의 글로벌 경제효과는 2035년 기준으로 12조 3천억 달러...우리 돈으로 1경 3천8백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통 3사 경쟁, 시작부터 아주 치열합니다.

일단 이동통신 3사는 5G서비스를 단순히 휴대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파이프라인 사업보다 4차산업혁명시대 초연결 인프라로 고도화시킨다는 계획입니다.

모바일 라우터 설치는 물론이고 기업서비스에 맞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정보통신 기술 솔루션을 묶은 패키지 상품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우선 SK텔레콤은 1호 고객으로 자동차 부품기업 명화공업을 선정하고 스마트 팩토리(지능형 공장)를 기업간 거래, B2B 대표 사업으로 내세웠습니다.

KT는 첫 고객으로 롯데월드타워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인공지능(AI) 로봇 ‘로타’를, LG유플러스는 산업기계 제조사인 LS엠트론과 함께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무인트랙터를 선보였습니다.

 

 

< 앵커 >

문제는 KT 화재에서도 드러났듯이 통신 사고에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가 하는 부분일텐데요. 말그대로 "초연결사회"가 실현된다면, 작은 사고 하나가 사회 시스템 전체를 통째로 '블랙아웃' 시킬 위험성이 지금보다 더 높아지는게 아닙니까?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최근 KT 아현지사 화재, 아현지사는 정부가 중요도가 덜하다고 판단했던 통신시설이고 불에 탄 통신구는 백미터도 안되는데, 서울의 4분의 1에 달하는 지역의 통신이 마비되면서 재난 수준의 혼란을 겪었는데요.

5G 시대에 이런 사고가 발생한다면 어떨까요.

도시와 공장, 집의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돼 스스로 작동하기 때문에 개인의 생활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마비도 초연결로 진행될 수 밖에 없습니다. 자율주행차라든지 전체적인 시스템 제어가 안돼 막대한 인명피해 마저 발생할 위험성이 높습니다.

 

 

< 앵커 >

5G 상용화에 앞서 촘촘한 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할 것 같은데, 대책은 세우고 있나요?

 

 

< 기자 >

근본적인 해결책은 이중 삼중으로 다중화된 통신망이나 위성망 등 백업 통신망을 갖추는 것입니다.

그런데 정부와 이동통신 3사는 5G 첫 주파수 송출에 맞춰 5G서비스 띄우기에만 여념이 없습니다. 정작 통신 안보 대책은 뒷전인 모습입니다.

정부와 통신3사는 지난달 ‘통신재난 관리체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연말까지 근본대책을 내놓는다는 방침이지만, 백업 통신망 논의는 뒤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신사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데다가 천문학적인 투자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업계는 5G 기지국에만 5년간 7조 4천813억 원이 투입되는 등 5G 전체 투자비가 28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

그런데 이통사들이 이런 막대한 투자금을 회수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때문에 수익이 나지 않는 안전성 부분에 예산을 투입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전문가들은 정부나 업계가 "5G 성과를 강조하고 상용화를 서두르기 보다는 사업화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기자 >

권송희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