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부처님은 나무 아래에서 태어나, 수행을 하고 깨달음을 얻었기에, 흔히들 불교를 숲의 종교라고도 부르죠.

대한불교진흥원이 마련한 화요열린강좌에서는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는 나무를 통해 마음 공부를 하고 삶의 지혜도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제시돼 관심을 모았습니다.

보도에 홍진호 기자입니다.

 

대한불교진흥원이 마련한 화요열린강좌.

생태사학자인 강판권 계명대 교수의 나무 예찬은 끝이 없었습니다.

나무처럼 단단한 목소리와 솔직함은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충분해 보였습니다.

강 교수는 "고등학교 때 IQ가 95이었고, 재수를 해서 대학에 갔다가 취업이 안 돼 대학원에 들어가 석사를 3년 만에 마쳤고, 경북대 대학원에는 4수만에 들어갔다"고 털어놨습니다. 

박사학위를 받고서는 자식의 머리카락을 자를 돈 조차 없을 정도로 가난을 겪다가 나무를 만나 지혜를 얻어 결국 책을 내면서 오늘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강판권/ 계명대 교수: 제가 그렇게 책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그런데 절실한 순간을 맞이해서 몸부림치는 과정을 제가 그런 능력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고 그것을 드러냈던 과정이 지금까지 많은 저술을 할 수 있었던 과정이기도 합니다.]

나무를 만나 인생이 변했다는 강 교수가, 나무에게서 배운 깨달음은 무엇일까?

강 교수는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기 자신을 그대로 인정해 자존감을 높이면, 무한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함안 성산산성에서 발견 된 600년 된 연 씨는 시절인연을 만나 꽃을 피워냈다며, 하늘이 부여한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낼지 먼저 고민하라고 조언했습니다.

[강판권/ 계명대 교수: 600년 전에 있던 (씨앗이) 것이 물을 주면 들어납니다. 우리 몸속에는 공자가 이야기 했던 인이라는 종자가, 인은 씨앗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 몸 속에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드러낼 것인가...]

강 교수는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갑질 논란의 해법도 나무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풀은 풀이고 나무는 나무 이듯이 모두가 평등한 존재이지만 그 역할이 다를 뿐이라며, 인간의 시선으로 자연을 재단하지 않는 태도가 이러한 사회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는 겁니다.

불자들이 관세음보살에 귀의하듯 나무의 지혜에 귀 기울이면 일상이 행복으로 가득 찰 것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

[강판권/ 계명대 교수: 둥근 모양의 나무가 세상의 소리를 다 듣고 사람들이 나무를 만나서 나무에게 많은 지혜를 배우는 것처럼 관세음보살에게 나무, 귀의하는 것처럼 나무에도 귀의한다면 훨씬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을 까...]

BBS NEWS 홍진호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