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한반도 해빙무드 맞춰 보존 대책 시급

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분단의 상징, 비무장지대 DMZ에 우리나라 멸종위기 생물 40%가 서식하는등 세계적인 생태계의 보고로 조사됐습니다.

남북 화해와 소통의 시대를 맞아 소중한 생물보호지역으로 보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정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박성용 기자입니다.

 

국립생태원이 조사한 DMZ 생물다양성 지도.

70년 역사의 DMZ는 가슴아픈 분단의 상징입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DMZ는 그 시간동안,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인 멸종위기종들의 중요한 서식처, ‘생명의 보고’로 변신했습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DMZ 5개 권역 가운데 동부해안과 산악, 서부 평야 등 3곳에 대해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여동안 생태계 현장조사를 벌였습니다.

그 결과, 멸종위기종 101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천929종이 서식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1.

[서창완 박사 /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장]

“DMZ 일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01종을 포함해 총 5,929종의 야생생물 서식을 확인하였습니다. 5,929종의 야생생물은 곤충류 2,954종  식물 1,926종, 조류 277종, 포유류 47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국내는 물론 국제적인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의 대거 발견은 이번 조사의 큰 성과로 꼽힙니다.

DMZ 서식이 확인된 멸종위기 1급 산양.

인터뷰2.

[서창완 박사 /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장]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사향노루, 수달 등 포유류 6종, 검독수리, 노랑부리백로 등 조류 10종을 비롯하여 수원청개구리(양서류)와 흰수마자(담수어류)를 포함해 총 18종이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지난 2006년 월악산에서 국내 처음으로 보고된 희귀종인 등뿔왕거미가 연천군 민통선 지역에서 다시 발견되고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37.8%의 서식이 확인된 점도 의미가 컸습니다.

국립생태원은 올해 중부산악, 내년 서부 임진강 하구에 대한 권역조사를 거쳐 DMZ 일원 생태계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DMZ 서식이 확인된 멸종위기 2급 담비.

인터뷰3.

[서창완 박사 /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장]

“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지도, 국제적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분포 지도 등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번 DMZ 생태조사는 군사분계선 남측, 군 작전지역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정밀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한계를 안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남북간 해빙무드에 맞춰 DMZ이 전 세계적인 중요한 생물보호지역이 될 수 있도록 생태계 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보존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BBS 뉴스 박성용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