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출연 : 이영주 제3언론연구소 소장

*앵커 : 양창욱 부장

*프로그램 : BBS 뉴스파노라마 [인터뷰, 오늘] 

양 : 오늘 네이버가 2차 개편안을 내놨죠. 뉴스 편집권을 내려놓겠다는 것이 핵심인데, 이게 얼마나 현실성 있는 것인지, 이영주 제3언론연구소 소장님과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소장님 나와계시죠?

이 : 네 안녕하세요.

양 : 네 오늘 네이버가 발표한 내용부터 먼저 정리해 주시죠

이 : 크게 보면 4가지가 되는 것 같아요. 처음으로 뉴스 편집에 관여하지 않겠다, 손 떼겠다고 말했는데, 이걸 포함해서 뉴스 댓글 허용 문제나 기사 정렬방식, 이런 모든 부분을 개별언론사에 넘기겠다고 발표를 했고요, 두 번째는 뉴스 판 서비스인데, 개별 언론사를 클릭하면 그 언론사가 편성해놓은 기사들을 독자들이 직접 읽을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하는 거구요. 세 번째는 아웃링크에 관련된 것인데, 네이버는 개별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시켜주는 기능에 충실하겠다, 그리고 이 독자들이 연결된 언론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기사를 직접 읽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고요. 네 번째는 뉴스피드 서비스라고 하는건데, 이건 지금도 하고 있어요 사실은, 그런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서 개별 독자들이 주로 많이 읽는 기사나 찾는 정보가 있지 않겠습니까? 이런 관심사나 취향, 자주 읽는 뉴스를 잘 분석해서 알아서 밥을 먹여주겠다, 즉 맞춤형 기사제공 서비스를 잘 해주겠다는 것인데요, 어찌됐든 네이버 화면이 앞으로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양 : 이게 언제부터 이렇게 한다는 거예요?

이 : 글쎄요, 이제 정확한 시행 날짜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기술적인 작업이 이뤄지고 내부적으로 시스템이 정립되면 시작하지 않을까 합니다.

양 : 네, 이게 아웃링크는 정확하게 어떤 건지, 조금만 더 설명해주세요

이 : 네, 이게 어려운 건 아니고요, 혹시 지금 휴대폰 들고 계시는 청취자분들은, 인터넷을 통해 네이버에 접속해보시면요 네이버 첫 화면이 나오죠. 그리고 위에는 뉴스나 연예, 스포츠, 푸드, 쇼핑 등 여러 메뉴가 나와요. 그리고 그 밑에 특정 뉴스기사를 터치하시면 해당 기사가 뜨겠죠. 그런데 이제 기사 작성과 제공은 무슨 무슨 일보, 무슨 무슨 신문에서 했는데 그 언론사 홈페이지 주소는 안 떠요. 그냥 네이버 홈페이지에서 뜨게 돼있죠. 그리고 그 기사를 다 읽으면 댓글을 달 수 있게 돼있죠.

양 : 네, 그야말로 기사를 사와서 뉴스 편집권을 완전히 행사하는 거죠 그러니까.

이 : 네, 그렇죠. 쉽게 얘기하면 기사의 주인은 따로 있는데 뉴스를 공급하고 유통해주는 가게 안에서 뉴스를 읽고 댓글도 달아라, 이것을 인 링크 방식이라고 하는 거거든요. 이게 문제가 생기다보니까 그러면 이렇게 기사를 읽지 말고 언론사 홈페이지에 직접 들어가서 기사를 읽으세요, 그리고 거기에다가 댓글을 달아 주십시오라고 하는게 아웃링크죠.

양 : 그렇군요. 이게 전면적으로 다 실시할 수가 있는 거예요? 언론사들마다 개별적으로 차이도 있을 것 같은데...

이 : 네, 그래서 네이버에서 일괄적으로 전환, 이건 두고 봐야 겠다, 개별 언론사와 협의를 통해 판단하겠다고 하는데, 조금 이따가 말씀드리겠지만 조금 문제가 있는 발언 같아요.

양 : 어떤 점에서요? 지금 말씀해 주세요.

이 : 일단, 왜 개별 언론사로 하여금 나 없이 너희들 잘 살 수 있을 것 같니? 우리 지금 다음이나 네이버가 문제가 많긴 하지만 어쨌든 우리가 제공하는 뉴스를 독자들이 손쉽게 편한 방식으로 읽을 수 있게 해주는 걸 우리가 해왔는데, 그걸 인링크의 방식으로 아주 편하게. 그런데 이걸 아웃링크로 전환하면 독자들이 굉장히 불편할 텐데 뉴스 소비량도 떨어질 수 있다, 그러니 이게 쉽게 판단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잘 생각해보고 다시 생각해봅시다, 이런 태도가 엿보여요.

양 : 그런 얄미운 의도가 있었네요.

이 : 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죠

양 : 그렇군요. 네이버가 여론 조작을 사실상 방치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여기에는 동의를 하십니까?

이 : 이게 좀 우리가 차분하게 생각해봐야할 문제인데요, 네이버나 다음, 포털에만 덮어씌우는 것은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댓글조작이나 여론조작이라는 것이 언제 어디서든, 모바일이나 온라인 공간에서는 항상 누구에 의해서든 가능한 이야기거든요. 사실 수많은 홍보 업체들도 있고 그런데, 그 분들이 홍보성 과장 기사도 끊임없이 만들어내기도 하고 실시간 검색어 조작에 동원되기도 하거든요. 그러니까 지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드루킹 사건, 이런 경우는 비일비재하죠

양 : 그래도 적극적으로 막지 않는 부분은 있잖아요?

이 : 그렇죠. 네이버나 포털 공간이 댓글이나 여론 조작하기에 최적화 될 수밖에 없고 효율적인 공간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죠.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서 기사를 읽고 댓글을 다는 공간이니까, 그래서 아이피 주소도 다 알거든요. 누가 어디서 접속해서 특정 아이디로 순식간에 수십 수백 개 댓글을 다는지 확인할 수가 있어요. 그런데 이걸 경각심이 부족했거나 또는 이런 예방할 수 있는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았거나, 또는 조금 더 지켜보고 확인해봐야겠지만 권력이나 대기업 압력 하에서 이들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오게끔 방치했다고 보이는 부분도 있거든요. 이런 비판은 가능하겠죠.

양 : 그렇군요. 그래서 지금 계속 말씀드리는 것이 포털의 책임부분이거든요. 가지고 있는 영향력에 비해, 혜택을 가지고 돈을 버는 것에 비해 책임이 많이 없는 게 아니냐 하는 그런 대목인데, 어떤 노력들이 있어야 지금 드루킹 사건 같은 것이 근절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이 : 일단 지금 한국 같은 경우는 모든 뉴스가 포털로 통한다고 하잖아요? 뉴스 소비가 그만큼 포털에 집중돼 있고, 여론이 형성될 수 있는 채널이 포털의 독점 하에 있기 때문에 포털의 사회적 책임이 굉장히 크다라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댓글조작을 방지하는 기술적인 장치들, 물론 발표도 했지만, 또 이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방법도 찾아야곘죠. 그런데 문제는 뉴스가 단지 상품이 아니다라는 인식을 포털에서 해야 합니다. 민주주의의 토대가 되는 뉴스의 다양성이랄지, 의견이나 여론의 다양성이랄지, 이런 가치가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하고 포털이 이걸 실현하는데 얼마나 기여해야 하는가, 이런 조직 내부의 인식이 부족하다면 기술적인 장치가 아무리 동원된다고 하더라도 정말 더 엄격하게 뉴스의 다양성과 여론의 다양성을 지켜내기 위한 책임을 다할 수가 없겠죠. 그런 부분에서 아마 네이버를 포함해서 포털이 굉장히 많은 노력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양 : 그렇군요. 아휴, 실장님,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이 : 네 고맙습니다.

양 : 네 이영주 제3언론연구소 소장님과 얘기를 나눠봤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