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앵커멘트]

다음은 <뉴스파노라마> 집중 취재로 듣는 ‘뉴스인사이트’ 순서입니다.

요즘, 서울 지역에 미세먼지와 봄철 황사가 잇달아 들이닥치면서, 마스크 없이 지내는 날을 손에 꼽을 정도인데요,   

서울시가 최근 발표한 미세먼지의 원인과 현황, 그리고 잇따르는 대책 등에 대해 사회부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사회부 배재수 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1] 먼저, 미세먼지가 이렇게 자주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알아봐야 할 것 같은데요, 서울시가 최근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요?

[기자] 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인데요,

조사는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던 지난달 23일부터 27일까지 닷새 동안 진행됐습니다.

분석결과, 국내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지만 가장 큰 이유는 중국 등 해외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최대 69%까지 한반도로 날아왔기 때문이었습니다.

여기에 국내의 대기 정체와 높은 습도도 한 몫 했는데요, 2차 생성, 그러니까 대기 중에 가스 상태에 배출된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이 대기정체와 높은 습도로 물리 화학 반응을 하며 초미세먼지로 활발히 바뀌었다는 겁니다.

정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중국 남부에서 국외 대기오염물질이 한반도 전역에 들어옴으로써 유입된 후에 확산되지 못하고 높은 습도와 대기정체로 축적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조사를 위해 채집된 미세먼지에는 해외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황산염과 암모늄염이 다량 유출됐고요, 선박이나 공장 등에서 중유를 태울 때 나온다는 바나듐과 니켈 등 중금속 성분도 많았습니다.

[앵커2]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이 중국 때문이라는 건데, 여야 정치권이 한 목소리로 ‘중국 요인’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요구했지요?

[기자] 네, 그제 국회 미세먼지대책특위 전체회의에서 나온 요구들인데요, 여야 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중국 요인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이들 의원들은 특히 미세먼지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중국의 저감노력을 촉구하는 데 소극적이라고 질타했고요, 특히 야당쪽에서는 대통령 직속 특위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습니다.
 
[앵커3] 서울 지역의 미세먼지 원인, 중국 요인 말고는 어떤 요인이 있었습니까?

[기자] 네, 70%에 가까운 중국 요인 다음으로 많은 것은 국내 난방발전입니다.

39% 정도를 차지하는데요, 하지만 대부분 겨울철 보일러 사용 등 필수 불가결한 과정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이라서 보일러 가동을 대폭 줄이지 않은 한 해결하기는 힘들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자동차와 비산먼지, 건설기계 등의 순이었는데요,

다만 서울시가 지난 3년간 상시적 대기질 개선 사업을 추진해서 조금씩 줄어드는 성과가 있었다고 하니까요, 앞으로 친환경 보일러 보급과 관련 저공해화 사업이 얼마나 활성화되느냐가 감량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4] 그런데, 앞으로 미세먼지 관련 주의보 발령 횟수가 더 늘어나고 농도나 지속시간도 확대될 것이라면서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주 금요일인 6일 이었죠, 서울시에는 처음으로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이날 서울 서초구 같은 경우에는 미세먼지의 시간당 평균 농도가 세제곱미터당 4백70마이크로그램까지 치솟기도 했고요, 잠실에서 열릴 예정이던 프로야구 경기도 37년 만에 처음으로 취소됐습니다.
 
서울시와 관련 보건환경 당국에 따르면 이 같은 미세먼지 경보가 앞으로 자주 있을 거라고 하는데요, 대기변화의 영향으로 풍속 등이 떨어지면서, 중국 등 해외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한반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게다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초미세먼지 발령 일수가 지난달 말부터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 조정된 것도 이유인데요,

초미세먼지 예보는 좋음이 15마이크로그램 이하, 보통은 35마이크로그램 이하, 나쁨은 75마이크로그램 이하, 매우 나쁨은 76마이크로그램 이상으로 바뀌었습니다.

[앵커5] 이 때문에 서울시가 올해 들어 연달아 미세먼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번 주에는 또 어떤 정책이 나왔나요?

[기자] 네, 이번 주에도 미세먼지 관련 대책들이 쏟아졌는데요,

먼저, 친환경 전기 오토바이 보급입니다.

올해부터 매년 5백대씩 앞으로 7년까지 4천7백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인데요, 대당 2백30만원에서 3백50만원까지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전기 오토바이는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내연기관이 없어서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데요, 충전시간이 많이 걸리는 전기차와는 달리 가정용 전기 콘센트에서 4시간 정도면 완전 충전이 됩니다.

또 전기차 처럼 따로 충전기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요, 한번 충전해 약 40킬로미터를 달리는 데 연간 연료비가 일반 오토바이의 10분의 1 수준이라고 합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도로포장법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는데요,

도로포장 면에 광촉매를 뿌려 자동차 유해가스를 줄이는 포장 기술인데, 이 광촉매가 빛을 받아들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빨아들이는 정화기능을 갖는다고 합니다.

기존에 하고 있던 노후 경유차 단속도 강화하기로 했는데요,

현행 37곳의 단속 지점을 올해 14곳 추가하고, 2년 뒤에는 백 곳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시는 이외도 장애인과 노인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들을 위해 KB국민은행과 손을 잡고 마스크 2백50만개를 지원하기로도 했습니다.  

[앵커6] 올해 시가 발표한 대책들 어떤 게 있었지요?

네, 먼저 정치권의 찬반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서울형 미세먼지 저감조치인 ‘대중교통 무료 운행’ 이 있습니다.

백50억의 예산을 낭비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실패한 정책이었다는 혹평도 있었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는 반응도 많았습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세먼지 많은 날 공공부문 차량 2부제와 태양광 발전 보급, 도시숲 확대, 사유지 공원 녹지 보존 사업 등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서울시는 이런 지속적인 대기질 개선 사업이 중단 없이 진행되면 7년 뒤에는 초미세먼지의 시간당 평균 농도를 ‘좋음’ 수준인 15마이크로그램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대기정책과장의 말입니다.
“저희가 평상시 하고 있는 자동차에 대한 대책, 건설기계나 난방발전 등에 의한 대책들에 의해서, 2025년까지는 최근에 개정된 대기환경 기준, 15마이크로그램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앵커]
네,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시의 미세먼지 원인과 현황, 대책 등에 대해 사회부 배재수 기자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배기자 수고했습니다.

[기자] 고맙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