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 앵커 >

1인 가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초핵가족 사회’로 진입하면서 아무도 모르게 홀로 죽음을 맞는 ‘고독사’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이 같은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공동체 돌봄 기능을 높이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배재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의 1인, 2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54%입니다.

3인 가족 이상이 다수를 차지했던 이른바 ‘정상가족’이 사라지고 이제는 본격적인 ‘초핵가족사회’에 진입한 겁니다.  

이에 따라 가족 중심의 돌봄 기능과 사회 안전망이 약화되면서, 아무도 모르게 홀로 죽음을 맞는 ‘고독사’도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의 무연고 사망자는 5년 전보다 1/3 정도가 더 늘었고, 특히 45살 이상 중장년층 남성의 경우는 10명 가운데 6명이 고독사로 숨지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이 같은 ‘고독사’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한영희(서울시청 복지기획관) 현장음
“오늘 서울시는 작지만 의미 있는 시작을 하려고 합니다. 그동안 현장에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그 방안들을 모아 주민의 눈으로 주민과 함께하는 ‘고독사’ 해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책의 핵심은 세상과 단절된 이들을 찾아내 사회관계망을 회복시켜주고, 지속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존엄한 죽음을 맞게 해준다는 내용입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먼저, 주거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매년 한 차례 실태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독사 위험이 있는 1인 가구에 긴급 생계비를 현행보다 3배 늘어난 최대 90만원까지 확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공무원 방문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지역의 자원봉사자와 기관으로 구성된 ‘이웃살피미’와 거점 파수꾼,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안부확인서비스’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최영록(서울 금천구청 복지정책과 마을복지팀) 인터뷰.
“실제 공무원들이 방문했을 때보다 이웃에 사는 주민들이 방문했을 때 그때 더 그분들에게는 더 좋은 영향이 있었던 거 같아요.(…) 관심을 가져주는 것에서도 점점 마음의 문을 여는 모습을 많이 보았습니다.” 

특히 고독사의 39%가 질병에 있는 만큼 지역의 병원과 연계한 원스톱 의료서비스와 저소득층까지 확대된 공영장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클로징 스탠딩>
초핵가족 사회의 어두운 그늘인 ‘고독사’를 막기 위한 민.관의 노력이 각자도생의 사회를 마감하고 공동체 사회를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BS뉴스 배재수입니다.


<영상취재=최동경>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