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불교의 대사회적 역할 강화와 사회 각종 현안에 대한 불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은 지금 우리 불교의 가장 중요한 숙제입니다.

조계종 화쟁위원회가 집담회를 열어 이런 고민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첫 번째 주제는 우리 사회의 낙태 문제였습니다.

조윤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해 9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한 편의 글.

낙태죄 폐지를 호소하는 이 청원은 한 달 동안 23만 여 명이 참여해 화제가 됐습니다.

조계종 화쟁위원회는 이런 낙태 문제에 대한 불교적 해법을 찾기 위해 ‘낙태, 화쟁의 눈으로 이야기하다’ 집담회를 개최했습니다.

기독교와 천주교를 포함한 타 종교가 낙태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의 목소리를 냈던 것과 달리, 불교계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기에 이번 집담회 개최는 더 의미가 깊습니다.

<인서트> 도법스님 / 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 위원장
“불교인으로서 또는 화쟁을 이야기하는 입장에서 (낙태 문제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좀 더 깊이 고민하게 됐고.. 이 문제로 인한 갈등과 대립의 문제를 줄이고 해소하고 더 나아가서는 이런 비극들이 되풀이되지 않을 수 있는 준비도 가능해지기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화쟁위원회의 몫이기도 하겠다...”

집담회에 참여한 발제자들은 무엇보다 우리 사회가 여성에게만 낙태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인서트> 박사 / 북칼럼니스트
“여성과 의사를 처벌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책을 펴고 있는데요. 그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임신 중절 음성화’, ‘불법 시술 양산 및 고비용 시술비 부담’, ‘해외 원정 시술’ 등의 부작용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여성의 생명권과 건강권을 침해 할 가능성이 굉장히 큽니다. 국가와 남성의 책임은 완전히 빠져 있는 상태입니다.”

또 발제자들은 낙태의 옳고 그름만을 따지는 것에서 벗어나, 낙태 자체를 줄여나가는 데 사회 전체가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낙태가 합법화된다고 해도 음성적인 시술에 대한 고통만 줄어들 뿐, 낙태라는 고통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인서트> 정웅기 / 생명평화대학 운영위원장
“낙태의 원인을 해결하기 보다는 낙태라는 결과에만 초점을 두고 제한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규제와 처벌이 무서워서 약간의 경감효과는 있을지 모르지만 원인이 남아있는 한 그것은 또 다른 고통을 낳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낙태의 고통이 사라지는 ‘멸’의 상태에 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명확한 현황 파악이 필요합니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낙태에 관한 정확한 통계 자료 조차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서트> 정웅기 / 생명평화대학 운영위원장
“(연간 낙태 시술 건수가) 2010년은 16만 9천 건 이렇게 되어 있었고요. 그런데 뉴스에서 의사들이 세미나 했던 자료를 보니 하루 평균 3천 명 수술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100만 건이 넘어갑니다. 통계가 뭔지도, 현실이 뭔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태라고 보여 집니다.”

조계종 화쟁위원회가 집담회의 첫 주제로 낙태 문제를 잡은 것은, 청와대에 민원이 쇄도하고, 불교가 이웃 종교에 비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한 이유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보다는 불교의 생명존중 사상에 입각해 가장 존귀한 생명을 인위적으로 거세하는 '낙태'는 가장 큰 비극이고, 이런 비극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한 준비와 노력에, 이제는 불교가 앞장서야 한다고 판단했기때문입니다.  

<스탠딩>


화쟁위는 이번 집담회에 이어 오는 7일,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남북관계를 전망해 보는 두 번째 집담회를 개최합니다. 
 

화쟁의 눈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불교계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조계종 총무원에서 BBS 뉴스 조윤정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