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심각한 북핵 위기 속에서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의 첫 러시아 순방이 마무리되면서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북핵 대응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한러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극동지역 개발'이 북한을 경제적으로 끌어들일 대안으로 떠오를 지에도 관심이 모아집니다.

정영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러 정상회담의 핵심은 북핵 문제 해결의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는 러시아가 우리 측의 대북 제재 방침에 얼마나 협력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이런 기대와 달리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핵 문제를 놓고 내린 처방은 엇갈렸다는 평가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여기서 북한의 도발이 멈추지 않으면 통제할 수 없는 국면으로 빠져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북 원유공급 중단 등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제재 조치로 압박을 가해야 북한이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제재와 압박보다는 오히려 대화와 협상을 강조하며 사실상 거절 의사를 밝혔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한반도 사태는 제재와 압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감정에 휩싸여 북한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결국 1시간 넘게 진행된 두 정상 회담은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러시아의 벽을 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재확인한 자리가 됐습니다.

반면 일본과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긴밀한 공조태세를 더욱 강화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양국은 북한이 무력 도발을 멈추도록 역대 최고 수준의 고강도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할트마긴 바트톨가 몽골 대통령과의 회담은 문 대통령이 구상하는 동북아 평화 플랫폼의 밑그림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평가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러 두 정상이 합의한 극동지역 개발은 경제난에 시달리는 북한을 남.북.러 3각 협력체제로 끌어들이는 대안으로 보고 있습니다.

남북관계에 막혀 한·러 협력을 진행하지 못했던 과거와 달리 역으로 한·러 협력을 먼저 추진하고 나중에라도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문 대통령의 첫 러시아 순방은 짧았던 기간만큼 아쉬움도 남겼습니다.

러시아와 중국의 벽을 넘어야만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의 북핵 대응 방식에 근본적 변화가 요구됩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BBS NEWS 정영석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