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어제가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맺은지 25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양국간 경제협력 규모와 범위는 지난 25년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중국 산업이 급성장하고 사드 배치 등 외교관계가 경색되면서 한·중 경제협력이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새로운 경제협력의 패러다임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권은이 기잡니다.

 

1992년 한·중수교 체결 당시 63억 달러였던 양국의 교역량은 지난해 2천114억 달러로 33배나 성장했습니다.

2003년부터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제 1수출국이 됐고, 한국 역시 중국의 4대 수출국이 됐습니다.

투자와 서비스 분야는 물론 인적교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서트 1.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경제본부 본부장)

[상당히 중요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해왔고 잘 아시다시피 한중 FTA가 체결이 돼서 양국의 경제관계가 더욱 공고히 되어있고요. 이런 협력은 양자적 협력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협력도 굉장히 강화됐습니다. 예를 들어서 동아시아 경제 통합 같은 경우에서도 한중이 굉장히 협력을 많이 하고 있고요.]

하지만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은 지금 중국의 경제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고, 양국의 경제관계는 과거 수직적이고 보완적인 관계에서 대등한 관계로 성장했습니다.

중국의 산업고도화로 양국간 상품교역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중 수출경합도는 1998년 37.9에서 2015년에는 44.8을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2 엄치성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장)

[중국도 계속 발전을 하다보니 이미 기술격차가 상당히 많이 줄어들었고, 소위 말하는 4차산업혁명 분야 핀테크라든지, 전자상거래, 드론 이런거는 오히려 중국이 우리보다 더 앞서가고 있는 분야도 많습니다.]

중국 기업의 글로벌화도 빠르게 진행되면서 한국은 지난 10년간 미국 종합경제지 “포춘” 선정 5백대 기업에 3개를 추가하는데 그친 반면 중국은 83개를 추가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에는 사드 문제로 중국의 경제적 보복 조치가 노골화되면서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아 한·중 경제관계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인서트 3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북아경제본부 본부장)

[화장품이라든지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제품들이 있으니 그런 제품들을 가지고 내수시장 접근을 해야될 것 같고요. 투자분야에서도 그린필드 투자였는데 M&A라든지, 기술투자를 통해서 같이 공생하는 그런 형태의 투자가 되면 사드라든가 다른 정치, 외교적 리스크도 피해갈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과 지난 25년간의 경제협력 성과를 이어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인서트 4 엄치성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장)

[정경분리 원칙 그러니까 정치적, 외교적으로 다툴 수 있더라도 한 경제적 협력관계는 계속되면 좋은데 지금은 그런 분리가 잘안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은 계속해서 경쟁력 있는, 중국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제품 ,상품을 만들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계속해서 지속해 나갈 수 있는 방법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한중 FTA 강화와 대중국 투자방식의 다각화,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다자간 협력 강화 방안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BBS 뉴스 권은이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