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반환을 앞둔 용산 미군기지 기획보도 네 번째 순서입니다.

용산 기지 공원화 사업에는 앞서 살펴본 문화재 보존 문제 외에도 토양오염 등 해결해야할 숙제가 많은데요. 

특히, 주한미군 일부 시설이 공원 안에 잔류할 예정이라 반쪽짜리 공원이 되지 않을까란 우려도 일고 있습니다.

남아 있는 문제들을 박준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용산 미군기지 전경(서울시 제공)

 

최근 서울시는 정부를 상대로 용산 미군기지 주변 지하수 정화비용 5억 4천만 원을 배상하라는 소송을 또 냈습니다.

지난 2006년 첫 소송을 치른 이후 13번이나 반복된 법정 다툼, 지금까지 서울시가 돌려받은 돈은 78억에 달합니다.

미군 기지에서 새나온 기름이 지하수를 덮고 있지만 군사시설인 기지 안 오염원 자체에 접근을 못해 서울시는 주변 정화 작업만 계속해왔습니다.

<인서트1/ 김제리 서울시의회 의원(용산구)>
“참 심각하죠. 그동안은 오염 비용을 서울시에서 부담했었는데, 그걸 SOFA 협정에 의해서 미국에선 부담할 수 없다고 해서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해서…”

크고 작은 기름 유출사고로 기지 내부엔 심각한 토양 오염이 예상되는데 원상복구를 강제할 수 없어 피해는 우리가 고스란히 떠안게 됐습니다.

공원조성을 앞두고 지적되는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닙니다.

한·미 연합사령부와 드래곤힐 호텔 등 22만㎡ 규모의 미군 시설물이 그대로 잔류하면서 용산 공원은 ‘반쪽짜리’ 국가공원이 될 운명에 처했습니다.

국방부가 전시작전통제권 반환 때까지 연합사령부를 용산공원에 존치하기로 결정했는데, 전작권 반환이 지난 2014년 사실상 무기한 연기됐기 때문입니다. 

<인서트2/ 김은희 용산미군기지온전히되찾기주민모임 대표>
“또 환경문제도 그런데 잔류부지 문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이) 화를 많이 내세요. 미군 기지가 다 나가는 게 아니거든요. 그러다보니까 이게 무슨 공원이 되냐.”

또 광화문의 미국 대사관까지 공원 내로 옮겨올 예정이라, 힘겹게 철조망을 허문 땅엔 또 다시 높은 담장이 세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공원에서 외교 문제를 둘러싼 각종 시위가 일어나거나 부지 한가운데 몰린 미군 시설물 때문에 공원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백여 년 만에 돌아온 소중한 땅, 하지만 용산 부지가 온전한 모습을 되찾기까진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BBS 뉴스 박준상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