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대입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은 과다한 입시 전형료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껴 왔습니다.

결국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교육당국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는데요.

대통령이 직접 챙기기 전까지 교육부는 전형료 책정의 명확한 기준도 마련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나 호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유상석 기자입니다.
 

 

합격 여부와 상관 없이, 입학 원서를 낼 때 무조건 지불해야 하는 대입 전형료.

각 학교 별로 요구하는 금액은 천차만별입니다.

서울대학교의 일반 수능 전형료는 만원이지만, 연세대학교의 국제계열은 14만 5천원의 전형료를 요구합니다.

4년제 대학 평균을 보면, 수능 전형은 3만 4천원, 실기 전형은 6만 9천원으로 집계됩니다.

현재 대학 입시는 수험생 한 명이 한 해 동안 수시 6번과 정시 3번, 총 9번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수험생과 학부모에겐 만만치 않은 경제적 부담이 됩니다.

결국 문재인 대통령이 나서, 교육부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습니다.

[인서트1/문재인 대통령]
"2015년 기준으로 4년제 대학의 입시전형료 수익이 1,500억 원이 넘습니다. 만약에 대학입시 전형료가 합리적이지 못하고 과다하다면 올해 입시부터 바로 잡았으면 합니다"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교육부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대학별 입시 전형료 책정 기준을 도입해 전형료 인하를 이끌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당국의 '늑장 대처'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챙기기 전까진 입시 전형료 책정 기준도 마련하지 않았다는 의미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교육당국이 수험생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겠다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김삼호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의 말입니다.

[인서트2/김삼호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교육부 스스로가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 서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크게 개선될 여지가 없다고 봐요. 입학전형료 상한제 도입을 하거나, 대학들이 실질적으로 금액을 낮출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같은 게 설정이 돼야지..."

BBS 뉴스 유상석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