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양성평등’이라는 말은 사실 한쪽 성에 치우쳐 있는 기득권을 균등하게 나눠 모두가 행복한 사회로 나아가자는 의미가 담겨 있는데요,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보내드린 ‘여성친화도시’ 연속 기획보도, 오늘 마지막 순서는 올해로 9년째를 맞는 여성친화도시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과제를 살펴봅니다.

배재수 기잡니다.

 

9년째를 맞는 ‘여성친화도시’ 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댔다는 겁니다. 

추진 방법에 대한 일부 합의는 있었지만 구체적 사업들을 지역 사회에 맡기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시민 사회의 협업이 눈에 띠었습니다.

최유진(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사회학 박사) 인터뷰.
“표준화된 모델보다는 지역현황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사업들을 발굴하자라고 하는 사업방향이 굉장한 여성친화도시의 장점이라고”

아직은 전체 시.군.구의 삼분의 일 수준이지만 전국 76곳의 지자체들이 여성친화도시 사업을 추진하면서 다양한 인프라가 만들어지고 특화된 사업으로까지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개선될 점도 돌출됐습니다.

먼저 민관 협업이 잘돼 성공한 도시도 있었지만 부족한 예산 탓에 다소 의지가 부족한 지자체의 경우는 협업이 어려워 지속 사업이 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지역 간 고른 발전도 이뤄내지 못했습니다.

홍미영(인천시 부평구청장) 인터뷰.
“개수를 늘리는 게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중앙에서 이왕 지원하려면 세심하게 그리고 거기에 또 뒷바라지 되어야할 예산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해야 되지(…) 조금 더 높은 차원에서 예를 들면 기재부에서 좀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든가 행자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한다든가

때문에 여성친화도시 사업을 확대나 단기적 성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시민 사회와의 파트너십과 자기 동력을 만들기 위해 긴 호흡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최유진(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사회학 박사) 인터뷰.
“시민들이 이 사업을 통해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고 느껴야 참여 자체, 사업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기 동력이 생길 수 있더라고요(…) 그런데 그 동력을 붙이기까지 굉장히 많은 토론이 필요한 거고 굉장히 많은 현황분석이 필요한 거고”

이와 함께 이제는 사업이 2단계에 접어든 만큼 재지정 도시의 확대보다는 우수사례 지원을 강화하는 쪽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황우정(여성가족부 성별영향평가과장) 인터뷰.
“재지정도시를 더 확산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기존에 지정되었던 도시들에 좀 내실화, 우수사례를 더 많이 발굴하고 더 많은 좋은 사례들이 나올 수 있도록 저희가 지원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을 합니다”         

한편으로는 남성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여성친화도시 건설이 여성 뿐 아니라 모두의 행복을 위한 지름길이라는 점을 널리 알릴 필요도 있습니다.

최경훈(49, 회사원) 인터뷰.
“금방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거 같아요.(…) 사회적인 공감대, 그리고 남자도 여자도 그렇고 서로 갭(차이)을 줄여나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봅니다.”

<클로징스탠딩>
여성을 포함한 모두의 행복을 위한 여성친화도시, 과감한 예산 투자와 적절한 정책 집행, 국민적 관심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BBS뉴스 배재수입니다.

 

<영상취재=남창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