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기원에 대해 진화론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그러니까 인류는 원숭이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0만년 전 인류가 처음 출현했을 때 덩치나 힘에 있어 크게 열세였던 존재가 냉혹한 약육강식, 생존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란 기적과도 같은 일이다. 그걸 넘어 인류가 지구의 최종 지배권까지 획득하게 된 사연은 정말 드라마틱한 이야기이다.

인류가, 최종적으로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지배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인간에게 고유한 언어능력이 꼽힌다. 제한된 소리와 기호를 연결해 세계를 표현하고 막대한 양의 정보를 습득하고 공유할 수 있었고, 인간들 사이의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소통능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호모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무엇보다 ‘허구’를 말할 수 있는 능력을 내세운다. 허구는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단순한 상상을 넘어 집단적인 상상을 가능케 해줬으며, 집단적 상상의 결과인 신화들 덕분에 사피엔스는 많은 숫자가 유연하게 협력하는 유례없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는 것이다. 국가에 대한 충성이나 인권, 정의에 대한 신념 등 현대사회의 사회제도나 신념도 그러한 허구의 기반 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상상과 허구에 대해서는 터부시하는 경향이 강했던 것이 사실이다. 유사 이래 제반 철학과 종교는 진리를 찾아 노력해 오면서 나름대로 그 진리를 밝혀왔다. 여기서 허구는 폐기의 대상이요 신화는 미신으로 치부되기 일쑤였다. 불교가 여실지견을 강조하며 무명에서 벗어나 지혜를 갖출 것을 주문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공사상에서는 분별지로 파악한 일체 모든 내용은 본래 공하여 그야말로 허구라고 지적하고 있고, 유식사상에서도 분별지를 넘어선 무분별지의 지혜를 갖춰야만 제대로 세상을 볼 수 있다고 밝힌다.

하지만 허구를 말할 수 있는 능력, 허구의 가치는 얼마든지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 불교 역시 허구를 배척하지만은 않는다. 그 어떤 권위도 부정하는 살불살조의 선불교 정신은 진리를 향한 철저한 실천을 요청하지만 유용하고 생산적인 허구의 가치를 결코 배격하지 않는다. 예컨대 ‘무명실성즉불성 환화공신즉법신(無明實性卽佛性 幻化空身卽法身)’이라 노래한 영가 현각의 <증도가>는 무명의 본성이 불성이요 허깨비처럼 보이는 이 몸이 잘 알고 보면 진리의 몸이라는 것이니, 허구가 곧 진실이고 진실이 곧 허구여서 서로 나눌 수 없는 불이(不二)라는 새로운 혁명적 사고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승불교의 정수라는 <법화경>에서도 삼승, 세 가지 수레를 통해 일불승에 이르는 방편의 유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허구를 바탕으로 한 신화는 창조적인 상상의 보고이므로 터부시할 이유가 없게 된다.

요즘은 소설 한 편 잘 쓰거나 노래 한 곡, 그림 한 편 내놓으면 평생 먹고 살 걱정을 안해도 될 수 있는 세상이다. 디자인은 인간 상상의 극치를 보여주는 예술이자 산업이 되었다. 철저한 사실에 입각해 있다는 과학마저도 시작은 상상에서 비롯한다. 달나라에 가고 싶다는 꿈이 마침내 현실화되었으니 상상의 힘은 실로 무한하다 하겠다.

21세기 인간은 어느 때보다 노동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비롯해 인간의 지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지능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소외된다는 우려도 있지만, 인간에게 노동 시간 대신 그만큼 상상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짐을 뜻하기도 한다.

인류가 다 함께 잘 살려면 우리 모두 상상의 능력을 계발하고 회복해야 한다. 불교에서는 우리 모두가 무한한 상상과 창조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가르친다. 이러한 능력(佛性)은 부처님도 가섭에게 전할 수 없었듯이 각자가 일깨울 수밖에 없다지만, 선지식에게 배우고 도반들과 서로 탁마하다보면 발현될 수 있는 조건이 더욱 성숙된다. 교조적인 권위주의 시대가 지고 자유로운 창조의 시대가 떠오르고 있는데 무엇이 두려운가. 허구는 함께 말하고 나눌수록 풍부해지니 아름다운 허구를 꿈꾸고 나누자.

-김봉래(불교사회인의 책임 실천운동TF팀장 겸 기획위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