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뜨지 않는경우 여기를 클릭하여주세요.

 

대기가 건조하고 등산객이 늘어난 요즘 사찰 화재 방지는 불교계가 한층 신경을 써야 할 부분입니다.

관계 당국의 실질적인 방재 대책과 사찰의 예방 노력이 잘 어우러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박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소방관들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며 사찰 대웅전을 향해 물을 쏘아댑니다.

스님들도 팔을 걷어부치고 가상의 불을 끄는데 힘을 보탭니다.

산불이 빈번해지는 가을을 맞아 산 속에 자리잡은 전통사찰에서는 이렇게 정기적으로 합동 소방훈련이 실시됩니다.

[인터뷰/효신 스님/조계종 홍보국장]

“불이 나면 이 유구한 문화들이 모두 사라지고 없습니다. 복원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라지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의당 정인화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지난 2011년 이후 현재까지 산불로 인한 피해 규모는 모두 2천6백여 핵타르에 이릅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9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경북지역과 산림 비율이 높은 강원지역을 합치면 산불 피해 규모의 60퍼센트에 이릅니다.

하지만 산림청을 비롯한 관계 당국의 대응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작년의 경우 1년간 전국적으로 620여 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그 원인이 대부분 취사와 흡연 등 입산객 실화인데도 산림청의 단속은 200건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정인화 의원/국민의당]

“산불 예방 대책에 있어서 입산자 실화가 크기도 하지만 적발 건수가 높지 못합니다. 그래서 입산자 실화 막기 위해선 우선 입산 할 때 성냥 라이터 등 소지 못하도록 입산시 통제하는거 중요하고 그리고 입산자 들어갈때 씨씨티비나 첨단 장비 활용해서 실화자는 처벌을 받는다는 인식이 확신이 들게 하는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산불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연간 1000억 원에 이릅니다.

하지만 인명 피해는 물론 문화재의 소실은 경제성을 따질 수 없는 치명적인 결과입니다.

가을철 산행이 잦은 요즘, 관계 당국의 실질적인 방재 대책과 사찰의 예방 노력, 국민들의 경각심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BBS NEWS 박지환입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