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중국정부가 경기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해
본격적인 긴축정책에 착수했습니다.

조문배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1. 먼저 긴축정책 발표 이후 구체적인 조치들이 나왔는데요,
어떤 내용들입니까?

네,지난달 28일 원자바오 총리의 긴축정책 발언 이후
중국정부가 준비라도 해 놓은 듯이
경기 진정책을 신속하게 발표했습니다.

여기에는 대손 충당금의 확충과 불량자산 통제,
그리고 기존 대출 회수와 대기업에 대한 위험관리 등입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철강과 시멘트, 자동차 등
대표적 과열업종에 대한 대출을 엄격히 통제하도록 했습니다.


2. 이같은 정책들이 어떤 효과를 낳을까요?

네, 은행업 감독관리위원회가 취한 이같은 조치는
전체 은행대출의 90%를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과열 투자업종은
대출회수와 같은 조치도 취해질 것으로 전해져
과열업종 경기가
한순간에 얼어붙을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조치를
지방에서 고용문제의 압력을 받으면서
그대로 실행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많습니다.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남영숙 박사의 말입니다.
인서트 ( )

3. 그러나 시장은 중국의 이같은 조치에 이어 예상되는
금리인상에 모아지지 않습니까?

네, 중국은 오는 7일까지 노동절입니다.

그런데 친 중국계 홍콩 문회보는
인민은행이 노동절 연휴가 끝난 뒤
대출금리를 5.31%에서 0.5% 포인트
인상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앞서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도
같은 보도를 한 바 있습니다.

4. 중국의 금리인상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까?

네, 보통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떨어지게됩니다.

이에 앞서 지난주 이틀동안 중국쇼크로
외국인들이 1조 5천억원의 주식을 내다팔며
주가가 901포인트에서 862포인트로 4.3% 급락했고
국내 10대그룹의 시가총액도 21조원이나 줄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자본이 빠져나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같은 중국의 금리인상 전망이
오는 8월로 예상되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더불어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국내의 침체된 내수경기를 감안할 때
금리인상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주식시장이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시간으로 4일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FRB가
금리를 동결할지 여부가 주목되는 가운데
그린스펀이 최근의 중국사태를
어떻게 해석해낼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5. 일부에서는 중국쇼크의 충격을
정부가 지나치게 안이하게 바라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데요?

지난 1997년 태국에서 외환위기가 시작될 때
우리는 홍콩의 외환시장이 대혼란을 겪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펀더멘틀이 괜찮다며 안이하게 대처해
결국 외환위기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습니다.

지금 문제는 중국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각종 경기조절 정책을 썼지만
제대로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원자바오 총리가 시장에 강경한 메시지를 보낸 것은
이같은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시 말해 거품붕괴와 같은
급격한 충격을 동반한 경기조절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중국정부가 연말까지 경기과열을 진정시키지 못할 경우
금융부실 등의 문제가 불거져
장기적으로 세계경제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다는 점을
정부 관계자도 인정했습니다.

산업 자원부 김동섭 과장의 말입니다. 인서트 ( )

6. 중국에서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상황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네,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갖춘 대기업들은
중국발 충격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망과
시장 지배권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고임금을 피해 중국으로 중국으로 뛰어든
많은 중소기업은 자칫 사면초과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중소기업인들로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대한 상공회의소 남진홍 중소기업 이사는
중소기업들이 지금 유행처럼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 유치 이후
이미 과잉생산이 심각한 지경에 있고
성장률과는 달리 내수경기는 형편없는 상황에 와 있다며
경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합니다.
인서트 ( )

중국과 바로 인접한 우리나라로서는
그만큼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겠습니다.



<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