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당 월하 대종사 행장(老天堂 月下大宗師 行狀)
및 臨終偈>

老天 月下 大宗師는 1915年 4月 25日 충남 부여군 군수리
파평 윤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老天은 法號이고 法名이 月下다. 俗名은 喜重.

어릴 때부터 智慧와 慈悲가 몸에 익기 시작하여 일찍부터
出格大丈夫로서의 資質을 보였다.

마침내 1933년 7월 20일 금강산 유점사로 出家하여
차성환 화상을 계사로 첫 沙彌戒를 받고 운수의 삶을 시작하였다.
부모 허락을 받지 않고 出家 得度하였다.
그리고 부친과 형님이 세 번이나 절에 찾아왔으나
스님의 意志와 信心이 堅固하여 마음을 돌이키지 못하였다.

1940년 통도사에서 比丘戒를 받고 당대의 고승 九河大禪師를 만나
그의 首弟子가 되었다.

대종사의 수행방법은 捨敎入禪의 절차를 밟지 않고 먼저 선을 통해
頓悟의 自內證으로 出身活路를 열었다.
대종사는 1940년 오대산 방한암선사 회중(會中)에서 몇차례의 安居를
盛滿한 후 1944년 철원 심원사에서 大敎科를 修了하였다.

또 대종사는 젊은 시절 천성산 내원사에서 치열한 勇猛精進을 통해
諸佛의 本源과 一切菩薩들이 修證한 本覺眞性을 깨닫고
法界의 自由人이 되었다.

대종사는 단 한번도 求道者의 길에서 어긋나는 것을 스스로
용납하지 않았다.
어려운 懸案이 있을 때마다 理事圓融으로 앞장서서 解決했다.
1954년 효봉 청담 인곡 경산스님 등과 함께 寺刹淨化收拾對策委員會에
參加해 전국사찰이 求道道場으로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불교정화운동을 전개하여 오늘의 청정비구승단이 있게 하였다.

이후 대종사는 宗團의 主要職責을 맡으면서 종단이 어려울 때마다
法燈의 역할을 自任했고 慧燈의 脈을 잇는데 寄與했다.
1955년 처음으로 曹溪宗 中央宗會議員에 被選되었고
56년에는 通度寺 住持를 歷任했으며 58년에는 曹溪宗 監察院長이 되었다.
또 58년부터 80년까지 통도사 金剛戒壇 傳戒大和尙으로
僧尼를 排出해내며 宗團의 宗匠을 키워내는데 힘을 보탰다.

1960년도엔 曹溪宗 中央宗會議長을 歷任하였고
75년도엔 東國大學校 財團理事長을 맡아 宗立學校로서의 位相을
구축하는 일에 힘썼다.

1978년 曹溪宗 元老議員으로 選任됐으며
그 다음해인 79년도엔 曹溪宗 總務院長에 推戴되었으며
조계사와 개운사로 나누어진 宗團紛糾를 오직 스님의 初志一貫된 意志로
收拾하였고 이로 인해 宗團의 正統性과 法統이 確立되었다.
10.27法難이 자행됐던 80년도엔 宗正職務代行을 맡아 흩뜨러진 佛心을
추스르는데 專念했다.

1984년 영축총림으로 지정된 통도사의 初代 方丈으로 자리한
월하대종사는 정변전에 住錫하며 언제나 문을 열어놓고
訪問者들을 맞았다. 대종사가 늘 보여주었던 수행자의 모습은
늘 一日不作이면 一日不食이라는 百丈淸規에서 어긋남이 없었다.

손수 자신의 방청소와 빨래는 자신이 하였으며
새벽 3시 반 예불에서부터 대중과 더불어 공양을 하였고
경내청소등 運力에도 빠지지 않는등 自悟自證하는 규범을 보였다.
이러한 대종사를 가리켜 대중들은 ‘百丈의 淸規와 趙州의 수행가풍을
실천한 분’이라고 입을 모았다.

항상 근엄하면서 쓸모없는 權威를 버리고
노유와 어울리는 親和力을 가진 분이 月下 大宗師이다.
오늘날 佛之宗家인 통도사의 가풍은 구하,경봉,벽안스님에 의해 이어져
다시 스님이 이를 傳受받아 오늘에 이른 것이다.
스님이야말로 近代 通度寺의 歷史이고 산증인이다.

다시말해 대종사는 下心의 慈愛가 몸에 밴 분이다.

대종사는 法을 구하려고 오는 雲水에게는 格外의 禪旨를 보였고
모든 佛子들에게는 常不輕菩薩의 下心과 慈愛를 베풀어 자신들의 本分을
깨닫게 하였다.

이렇듯 대종사의 자상함은 비록 부드러울망정 理事를 達觀하고
隨處作主(어디에 처하든 주인공의 모습을 짓는 것)의 광활한 德目을
確保하는데 障碍가 되지는 않았다.
이같은 대종사의 家風은 상당법문 偈頌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口裡無嗔吐妙香

面上無嗔供養具

心裡無嗔是珍寶

無染無垢是眞常


입 속에 성내고 어리석음이 없으면 향내가 나고

얼굴에 번뇌가 없으면 그 자체가 중생을 위한 공양이다.

마음 속에 삼독이 소멸되면 그대로 참된 부처요

어느 곳에 있어도 물들고 때묻지 않는 그곳이 극락일세.


대종사의 얼굴에는 煩惱의 어둠이 숨어있지 않았다.
늘 시골 할아버지 같은 지극한 慈悲心만이 보는 이로 하여금
잔잔한 感動을 던져준다.

통도사가 오늘날의 堂宇를 건립하여 偉容을 자랑하고 있는 것도
대종사의 도움 덕분이 컸다.
현재의 박물관과 설법전을 지을 때 대종사는 자신의 수중에 있는 돈을
모두 내놓았다. 대종사가 법문 다니며 한푼 두푼 모아놓은 것<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