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은 물론 개구리가 뛰쳐나온다는 경칩마저도 지났으니, 만물이 생동하는 봄이 완연해졌습니다. 초중고생들은 신학기를 맞아 새 친구, 새로운 선생님을 만나는 설렘과 긴장 속에서 한 달을 보내고 있을 테고, 가정에서는 겨우내 입었던 두꺼운 옷과 이불을 정리하고, 집안 봄단장에 나설 때입니다.


  이때를 즈음해 몸과 마음을 새롭게 가다듬는 기간으로 삼아보길 권합니다. 3월 초순경에 부처님의 출가절과 열반절이 일주일 간격으로 잡혀있기도 하거니와 추위로 웅크렸던 우리들의 몸과 마음이 활짝 기지개를 펴려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불가에서는 “발심(發心)과 필경(畢竟)은 둘이 아니지만 두 마음 중에 먼저 마음이 더 어렵다”는 말이 있습니다. 발심이 말 그대로 깨달음을 얻겠다고 마음을 내는 발보리심을 일컫는다면 필경은 번뇌가 끊어진 절대의 경지를 말합니다.


  이 둘 중에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이 바로 처음 불도를 이루겠다고 마음을 내는 발심이란 말입니다. 그러니 초발심이 얼마나 어렵고도 소중한지를 잘 나타내주는 말이라 하겠습니다.


  같은 의미의 말로 ‘초발심시변정각’이란 말도 있습니다. 《화엄경》에 등장하는 이 말은 처음 발심한 그 마음과 열심히 수행 정진해 깨달음을 얻은 후의 마음은 동일하다는 말입니다.


  이 역시 초발심이 얼마나 순수한지, 깨달음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지를 잘 보여주는 말입니다.


  봄은 사계절 중에서도 첫 번째로 손꼽히는 계절입니다. 동양에서는 봄을 만물이 생동하는 계절이라 해서 한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했습니다. 실제 24절기 중에는 입춘이 그 첫 절기에 해당합니다.


   이 계절을 맞아 우리 불자들은 몇 년 전, 또는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자신의 초발심을 되새겨 봅시다. 만약 특별한 초발심의 기회가 없었다면 이번에 새롭게 각오를 다져도 좋습니다. 주변에 불교에 관심을 갖는 이가 있다면 그를 부처님 곁으로 안내해 초발심을 낼 수 있도록 돕는 일도 의미 있는 일일 것입니다.


  요즘 경제가 많이 어렵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불자들의 초발심을 되새겨 중생과 고통을 함께하는 보살의 마음을 닮아가도록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새싹이 푸릇푸릇 돋아나듯 남을 위해,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해 우리의 마음속에 깃든 부처가 되겠다는 발심이 커져가길 기대합니다.


 아울러 새 봄의 생명력이 우리 사회와 국민들에게도 희망을 북돋아주는 청량제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월도스님(천태종 사회국장, 불교방송 객원논평위원)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