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베이징 장애인올림픽이 어제(9월 17일) 폐막했습니다. 사상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 이번 장애인올림픽은 148개국에서 총 73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했습니다. 우리나라는 13개 종목에 79명의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금메달 10개, 은메달 8개, 동메달 13개로 종합 13위를 했습니다.


 


   항상 그래왔지만, 이번에도 장애인올림픽에 대한 대한민국의 관심은 매우 저조했습니다. 비장애인 올림픽이 열렸던 8월에는 금메달을 딴 선수의 경기는 올림픽 기간 내내 재방송을 하였지만, 장애인의 경기에 대해서는 방송은 한마디로 '침묵' 그 자체였습니다. 메달을 딴 선수들의 '성공 스토리'를 전하던 신문들 역시 조용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간다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도 기존 매체와 다를 바 없었습니다. 비장애인 올림픽 때에는 웹서비스를 운영할 정도로 적극적이었지만, 장애인올림픽에 관한 제대로 된 링크조차 보이지 않았습니다. 촛불시위를 주도했던 다음아고라에서 장애인 선수들에게 응원을 보내자는 서명운동을 벌였지만, 그 참여자수는 쇠고기 시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 장애인올림픽을 “보면서” 대한민국은 1등만이 우대받는 곳이라고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학교에서도 1등을 해야 대접받고, 소위 명문대학을 나와야 기를 펴고, 사회에서도 엘리트만이 활개를 펴는 곳이 되었습니다. 혹자는 경제논리를 앞세워 이렇게 말합니다. “장애인 100명을 교육시키기 위해 돈을 쓰기보다 영재 한 명을 키워내는 것이 국가의 경쟁력을 훨씬 높이는 일이다”라고. 정부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들어서는 중대한 문턱에 있으니 ‘약자를 위한 분배’는 좀 뒤로하고, ‘강자의 도약’을 위해 투자하자고 강조합니다. 영재교육을 위한 예산은 증액하지만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삭감하는 것을 당연시 합니다. 이번 정부 들어서 가장 먼저 삭감한 예산이 장애인 교육예산이었다는 것이 정부의 엘리트주의를 방증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은 전체 인구 중에서 약 3.6%이지만, 미등록 장애인까지 합치면 5%가까이 됩니다. 국민 20명 중 하나는 장애인이지만, 이들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유난히 장애인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복지국가를 지향한다고 떠들지만 아직도 장애인들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차별을 받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주소입니다. 장애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도시근로자 가구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올림픽 메달에 대한 연금제도에 있어서도 장애인들은 차별을 받습니다. 정상인들이 딴 메달이 장애인의 메달보다 값어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은 유독 뜨거운 나라입니다. 올림픽과 월드컵 때 국민들이 보여준 열기는 지구촌 사람들이 부러워했습니다. 이러한 열정이 우리를 배고픔에서 해방시키고 선진국의 문턱까지 인도한 것은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선진국의 문턱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손을 잡고 넘어야 합니다. 이제는 뜨거움 보다는 따뜻함이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임 석 준 (동아대 정외과 교수)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