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한국 불교계의 치욕스런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는
10.27 법난 사건과 관련해
조계종이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자세한 소식 이용환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출연원고>

<질문1>
먼저 청취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10.27 법난 사건에 대한
설명부터 좀 해 주실까요?

<답변>
10.27 법난 사건은
1980년 10월27일부터 30일까지 불교정화를 명분으로
자행된 불교탄압 사건입니다.

신군부는 당시 조계종 총무원장 월주 스님을 비롯해서
종단 중진 스님 46명을 강제연행 했습니다.

신군부는 계속해서 범법자와 용공분자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조계종과 태고종, 천태종 등 전국 3000여 사찰에
군인들을 투입해서 신도와 승려 만7000여명을
강제연행 했습니다.

당시 동원된 병력만 해도 군인과 경찰 3만여명에 달했습니다.

강제 연행된 스님들은 대부분 심한 고문과 구타를 당했고
심한 구타 후유증으로 입적해 든 스님들도 있었습니다.

계엄사령부는 같은해 11월14일 수사결과를 발표하게 되는데요,
스님 10명과 재가자 8명을 구속시키고,
추가로 32명의 스님에 대해서는
승적박탈 또는 종무직을 사퇴하도록 압력을 가했습니다.

당시 불교계는 살벌한 계엄군의 군화발 아래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장 법안 스님의 말입니다.

<인서트1>

<질문2>
정말 끔직한 사건이 아닐 수 없는데요,
문제는 아직도 10.27 법난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거 아니겠습니까?

<답변>
법난의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본격적인 움직임은
법난 발생 6년 뒤인
1986년 해인사 승려대회에서부터 시작됐습니다.

당시 해인사 승려대회는 10.27 법난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의 불교자주화를 선언하는 자리로
마련됐습니다.

그 이후 민중불교운동연합 등과 재야단체들은
5공화국 비리특위에서 10.27 법난의 진상을 철저하게 규명하고
책임자 처벌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교계의 이같은 요구에 정부는
1988년 12월 당시 강영훈 국무총리가 지난 과오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하게 됩니다.

하지만 한국 불교사에서 가장 치욕적인 상처로 남아있는
10.27 법난 사건이 국무총리의 사과 한마디로 해결 될 수는
없었습니다.

불교계의 법난에 대한 진상규명 요구는 더욱 거세지기
시작했고
마침내 89년 3월 증언 청취를 듣는 청문회 일정이
확정되기에 이릅니다.

하지만 일부 스님들이 청문회 개최를 반대하면서
결국 청문회 개최는 좌절되고 이렇다할 규명없이
25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게 된 것입니다.

<질문3>
조계종이 앞으로 타종단과 연대해서 10.27 법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하기로 했는데, 자세한 내용을
소개해 주시죠.

<답변>
조계종은 그대로 뭍어 둘수 없는
치욕적인 10.27 법난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책임자 사과를 강력하게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조계종은 범종단 차원에서 대응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조계종은 최근 국방부가 발족한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에도 10.27 법난 사건이
조사 대상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강력히 요청할 방침입니다.

계속해서 법안 스님의 말을 들어보시죠.

<인서트2>

<질문4>
이 기자가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언급했는데,
위원회 구성과 관련해서도 말들이 많은데 어떤 내용입니까?

<답변>
국방부는 지난 27일 군 관련 의혹 사건들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발족했습니다.

위원회는 국방부차관을 비롯해 기획조정관 등
5명의 내부위원과 7명의 민간위원 등 모두 12명으로
구성됐습니다.

7명의 민간위원은 변호사 2명과 대학교수
그리고 목사와 신부 등의 성직자로 이뤄졌고
위원장은 이해동 목사가 맡았습니다.

문제는 불교계 인사가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이렇게 되면서 향후 조사대상 사건을 선정할 때 과연
10.27 법난 사건이 채택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종교편향이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습니다.

10.27 법난 사건은 불교계를 중심으로 진상을 규명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더해질 때 진실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정확한 진상이 밝혀지고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은 불교계가 조금이나마 명예를
회복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이용환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BBS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